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시스템'(OCCS)이 탑재된 HMM의 2200TEU급 컨테이너 운반선
삼성중공업은 HMM·파나시아·한국선급(KR)과 진행한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시스템(OCCS, Onboard Carbon Capture & Storage)'의 실증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실증은 국내 최초로 실제 운항 중인 2200TEU 규모의 HMM 컨테이너선에 아민 흡수식 기반의 OCCS를 설치해 년 7월부터 1년 동안 성능을 검증한 것으로, 탄소 감축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이 과정에서 선박 운항 중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경제적인 운용 방식을 적용, 기술적 효율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특히 올해 1월과 5월에는 99.9% 이상의 고순도 액화 이산화탄소 포집에 성공했으며, 이렇게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선박 연료로 사용 가능한 친환경 메탄올을 만드는 공정의 원료로 재활용돼 탄소 자원화(Carbon Utilization)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단순히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지중에 저장하는 방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번 실증은 조선·해운·에너지 산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탈탄소 가치사슬(Value Chain)의 실현 가능성을 높였으며, 향후 글로벌 해운 산업의 탄소중립(Net Zero)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OCCS 상용화를 위해 포집된 이산화탄소의 저장과 자원화를 위한 육상 인프라 구축과 관련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하고 있다.
이동연 삼성중공업 조선해양연구소장(부사장)은 “OCCS는 친환경 연료를 생산하는 에너지원으로 기능함으로써 향후 선박의 넷 제로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조선·해운·기자재 업계가 긴밀히 협업해 글로벌 OCCS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과 인프라 조성에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