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동제약(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 제일약품, 유한양행, 부광약품 본사 전경. 사진=각 사
중견 제약사들의 신약 연구개발(R&D) 전문 자회사들이 신약출시, 기술이전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모회사의 성장동력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7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일동제약의 R&D 자회사 유노비아는 먹는 비만약 후보물질 'ID110521156'의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이 약물은 4주만에 체중 약 7% 줄이는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기존 주사제형 비만치료제와 달리 먹는 비만약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기존 주사제형 비만치료제에 비해 생산단가가 크게 저렴한 저분자 약물일 뿐 아니라 기존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GLP-1) 계열 비만치료제와 달리 유효용량 범위 전반에 걸쳐 위장관계 부작용도 현저히 적다는 게 유노비아의 설명이다.
유노비아는 지난달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당뇨병학회(ADA 2025)에서 ID110521156의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했으며, 내년 상반기 임상 2상에 진입하기 전까지 기술이전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노비아는 장기간 신약개발 투자로 재무상태가 악화된 일동제약이 모회사 재무지표를 개선하고 신약 파이프라인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23년 모기업에서 분사해 출범시켰다.
이후 유노비아는 지난해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P-CAB) 계열 신약 후보물질 'ID120040002'를 대원제약에 기술이전(라이선스 아웃)하는 등 상업화 성과를 올리고 있고 같은 해 모회사인 일동제약은 영업흑자로 돌아서는 등 유노비아 분사는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제일약품도 R&D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를 통해 신약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국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모양새다.
온코닉테라퓨틱스가 개발해 지난해 10월 출시한 국산 37호 신약 '자큐보정(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은 올해 1~5월 처방액 135억원을 기록, 올해 전체 매출 250억원 이상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자큐보정은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위궤양 치료제 적응증을 추가로 허가받아 단독 처방이 가능한 복수 적응증 치료제 지위도 얻게 됐다.
아울러 개발 중인 표적항암제 후보물질 '네수파립'도 현재까지 췌장암과 자궁내막암, 위암 등 다수 적응증에서 단독 및 병용 임상을 거쳐 항암효과를 입증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두 차례 희귀의약품 지위를 획득했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최근 셀트리온과의 병용요법 공동연구개발 계약도 체결한 상태다.
부광약품은 일찍부터 국내외 R&D 전문 자회사를 통한 신약개발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왔던 제약사로 꼽힌다.
덴마크에 있는 신약개발 자회사 콘테라파마는 지난해 파킨슨병 이상운동증 치료제 'JM-010'이 임상 2상에 실패하는 좌절을 겪기도 했지만 파킨슨병 아침무동증 치료제 'CP-012'을 비롯해 희귀질환 치료제 'CP-101', 'CP-301' 등을 개발 중이다.
특히 부광약품은 현재 주요 신약 파이프라인이 초기임상 또는 전임상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최대주주인 OCI홀딩스의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R&D 자금을 확보하며 신약개발을 지속하는 뚝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유한양행의 면역항암제 개발 자회사 이뮨온시아가 코스닥에 상장하는 등 중견 제약사 외에 대형 제약사들도 자회사를 통해 신약개발 효율성 제고, 상장을 통한 R&D 자금 확보 등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