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서울 한 대형마트 라면 판매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한 가공식품 가격 잡기에 나선 가운데, '서민 식품'의 대명사인 라면도 대대적인 할인 행사에 돌입했다. 일단 업계는 정부의 물가 부담 완화 기조에 발을 맞추는 분위기지만, 경제적 불확실성을 고려해 가격 손질 자체는 검토하고 있지 않은 분위기다.
◇ 라면 가격 내린다…7월 대대적 할인 행사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식품·유통기업이 이달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연다. 소비자물가 체감도가 높고 원재료 가격 부담이 완화된 품목들을 한시적으로 저렴하게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콕' 집어 관심을 보였던 '라면 가격'도 할인 대상에 포함된다. 전날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농심은 대형마트에서 봉지라면과 컵라면 등을 16~43% 할인 판매하고, 오뚜기와 팔도도 10~20% 할인 판매한다. 행사는 이달 중 진행되며, 구체적인 할인 기간은 유통 채널 별로 상이하다.
업계에 따르면 이달 기준 봉지라면의 가격은 봉지 당 1000~2000원대(편의점 기준)다. 앞서 농심과 오뚜기 등은 지난 2022년 10월 라면 가격을 인상했다가 이듬해 7월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에 일부 품목 출고가를 낮췄다. 당시 농심 신라면의 경우 소매점 기준 판매가격이 1000원에서 950원으로 낮아졌다. 오뚜기는 스낵면과 참깨라면, 진짬뽕 등 15개 제품 가격을 평균 5% 인하했다.
이후 농심은 올해 3월 라면 제품의 가격을 평균 7.2% 인상했고, 오뚜기는 올해 4월 16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5% 인상했다. 삼양식품의 경우 올해 가격을 인상하지는 않았다.
◇ 업계 “가격 자체 조정 계획은 없다"
다만 업계는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한시적 할인행사로 동참하면서도, 실질적인 가격 인하에는 선을 긋고 있다. 이미 지난정부 가공식품 가격 인하 압박에 따라 가격 자체를 인하했던 데다, 생산비용 상승에 경제적 불확실성까지 커진 만큼 추가적인 가격 인하는 사실상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농심과 오뚜기, 삼양식품 관계자 모두 “할인 행사를 통해 물가 안정 기조에 동참하지만, 당장 라면 가격 자체를 조정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라면 가격 인상 자제나 인하를 요구하는 근거는 주로 원재료 가격 하락이다. 주재료인 밀가루나 팜유 가격이 하락하면 이에 맞게 가격을 낮추라는 논리다.
업계 관계자는 “라면을 만드는 데 밀가루와 팜유 등의 비중이 큰 것은 사실이지만, 라면 제조를 위해서는 물류비나 인건비, 전기요금 등 수십가지 비용이 복합적으로 들어간다"며 “일부 원재료 가격이 낮아졌다고 해서 생산 비용 자체가 크게 줄었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