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지주사들은 지난해부터 주주환원율, CET1 비율,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3대 핵심 지표의 개선을 전략으로 밸류업에 드라이브를 걸기 시작했다.
4대금융지주가 일제히 '주주환원' 보폭 키우기에 나섰다. KB금융지주는 가장 적극적인 행보에 올해 총주주환원율이 50%를 웃도는 수준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신한금융지주도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 속도를 높여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실적 상승과 시장 환경변화에 따라 금융지주 전반 주주환원율 확대에도 기대감이 실린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지주가 지난달 26일 1034만7131주의 자사주를 소각했다. 소각 규모는 약 5000억원으로, 주주 환원에 속도를 내기 위해 지난 2월 밝힌 '5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정리 계획'을 앞당겨 실행한 것이다.
당시 정리 완료 시점을 8월로 두고 순차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지만 시기를 당겨 조기에 완료한 것이다. 신한금융은 지난 2월부터 네 차례에 걸쳐 자사주를 사들이고 4월에는 520만주(2463억원규모)를 일시에 매수하기도 했다. 하반기에도 추가 자사주 매입을 계획 중인 가운데 금융권에선 3000억원 규모를 매입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특히 올 들어 자사주 매입·소각 총규모는 1조7500억원으로 이중 소각은 6500억원 규모다. 신한금융은 보통주자본비율(CET1) 13% 초과 자본을 주주환원에 사용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최근 주주가치 제고 행보 확대에 올해 주주환원율 목표치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KB금융은 5대 금융지주(KB금융·신한·하나·우리·NH농협) 중 가장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상반기에만 1조76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발표했고 하반기 추가 주주환원책을 예정 중이다. CET1 비율 13%를 초과하는 자본은 주주에게 환원하고 있으며, 밸류업 프레임워크를 도입해 자본관리와 환원을 연계한 밸류업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올해 총주주환원율은 57%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금융지주에서는 앞서 함영주 회장이 2027년까지 주주환원율 5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이후 적극적인 주주환원에 나서고 있다. 지난 2월에는 40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을 결정했고, 올 들어 1조7000억원의 매입·소각 규모를 밝혀 공격적으로 보폭을 늘렸다.
특히 금융지주 중 가장 높은 수준의 TSR(총주주환원수익률)이 예상되고 있다. 올해 은행 평균 총주주환원수익률 예상은 8.5%로 하나금융은 9.7%다. 총주주환원수익률은 총주주환원율과는 다르게 주식 가격 상승분과 배당금, 자사주 매입에 따른 가치 환원 등을 합산한 총체적 수익을 일컫는다. 하나금융의 올해 예상 주당배당금(DPS)은 3700원으로, 2024년 3600원 대비 2.8%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KB금융(3400원)보다 300원 높은 수준으로 업계 최고 수준 인상이다.
우리금융도 상대적으로 낮은 주가로 인해 높은 환원수익률이 예상된다. 앞서 비과세 배당 도입과 분기배당 등 차별화된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주주환원 목표로는 CET1 비율 12.5%를 조기 달성한 후 50% 환원을 내걸었다.
금융지주사들은 지난해부터 주주환원율, CET1 비율,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3대 핵심 지표의 개선을 전략으로 밸류업에 드라이브를 걸기 시작했다. 특히 새 정부가 자본시장 구조개혁을 추진해 금융업이 수혜주로 거론되는 가운데 원화가치 상승과 내수 부양책이 맞물린 시장 상황과의 시너지가 커질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금융권은 지난 5월부터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매매평가익이 확대될 가능성도 열려있다.
금융지주사의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어 올해 역대 최대 실적 기록과 함께 주주환원율도 상향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신한금융은 올해 4조90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최대실적을 나타낼 것이란 전망이다. CET1 비율 개선에 따라 자사주 매입·소각이 늘어나면서 주주환원율은 45%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도 주가상승률이 올 들어 모든 금융지주사 중 가장 큰 폭으로 나타났다.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KB금융의 주주환원율 상향에 주목하고 있다"며 “하반기 보통주자본(CET1)비율 13.5% 초과 자본을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하는 점을 고려하면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 1조1000억원을 포함해 총주주환원율 57.2%도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