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김문수 국민의힘·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사진=연합뉴스]
6.3 조기 대선 레이스가 23일 현재 D-11일 남았다. 선거 운동이 중반을 넘기면서 기존의 '1강 1중 1약' 판세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여론조사에선 변화의 조짐도 나타났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지난 12일 21대 대통령 선거 운동이 본격 시작된 후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전히 '1강 1중 1약'의 구도 자체는 이어지고 있다. 대체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40%대 후반~50%대 초반,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30%대 후반,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10%대 미만의 지지율을 1, 2, 3위를 달리고 있다.
실제 MBC가 지난 4월부터 이달 21일까지 실시된 300여개의 각종 여론조사를 모아 통계를 낸 결과를 보면 이재명 후보는 평균 47.2%, 김문수 후보는 평균 37.1%, 이준석 후보는 평균 9.5%의 지지율을 기록 중이다.
다만 이재명 후보는 최근 조사에서 정체 또는 오차범위 내에서 소폭 하락세고, 김문수 후보는 30%대 중반에서 후반대로 치고 올라가고 있다. 이준석 후보도 5% 안팎에서 꾸준이 올라 10%대에 육박했다.
예컨대 YTN의 의뢰로 엠브레인퍼블릭이 지난 18~19일(5월 3주차) 동안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50%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선택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36%,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6%로 나타났다. 지난주 같은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는 4%포인트(p), 김 후보 3%p가 올랐고, 없다나 모름·무응답이 13%에서 7%로 줄었다.
또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9~21일 동안 휴대전화 면접 방식으로 조사해 지난 22일 공개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지지율에서 이재명 후보는 46%, 김 후보는 32%, 이준석 후보는 10%를 기록했다. 이재명 후보의 경우 지난주 49%에 비해 3%p 하락했고, 김 후보는 지난주 27%에서 32%로 5%p 상승했다.
선거 운동 전후 부동의 1위를 달리던 이재명 후보는 압승이 전망되면서 오히려 50%대 중반으로 치고 올라가지 못한 채 정체하고 있는 모양새다. 오히려 최근 지지층 결집이 다소 느슨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반면 지난 9~10일 사상 초유의 '후보 강제 교체 논란' 끝에 본선 무대에 오른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를 좁혀가고 있다. 선거운동 초반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문제와 강성 우파 인사들의 합류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지지율이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보수의 텃밭'인 TK(대구경북)에서도 과반에 못 미치는 지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이 탈당을 단행한 이후 지지층이 결집하면서 등을 돌린 중도층에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이준석 후보는 기성 정치권과 거대 정당 체제에 염증을 느낀 젊은 세대와 무당층 유권자들을 공략하면서 상승세를 타고 있다.
한편 일부 여론조사에선 김문수 후보가 서울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오차범위내에서 앞섰다거나, 전국 조사에서 한 자릿수로 역전해다는 결과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해당 조사들의 경우 질문을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게 구성하는 등 '객관성'이 의심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반에 접어든 대선판의 막판 변수는 김문수·이준석 후보 등 범보수진영 후보 단일화 여부가 꼽힌다. 다만 이준석 후보가 단일화에는 선을 확실히 긋고 있어, 25일 투표용지 인쇄 이전까지 단일화에 합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특히 이준석 후보 측이 최근 친윤 측이 '당권'을 미끼로 단일화 거래를 시도했다고 폭로하면서 더 거리가 멀어진 모양새다. 최근 각종 조사에서 김문수-이준석간 단일화 시너지 효과가 별로 없다는 결과가 속출하기도 했다.
전문가들도 대체로 부정적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보수개혁을 외치며 탈당하고 창당한 이준석이 다시 국민의힘과 손잡는 것은 스스로 부정하는 셈"이라며 “이준석 후보가 단일화에 응할 명분도 실익도 없다"고 내다봤다. 황태순 시사평론가도 “단일화를 한다면 이준석 후보가 자신만의 색깔을 잃고 정치 생명이 끝날 수 있어 현실화될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최근 보수층 결집으로 상승세를 타고 있는 김문수 후보가 40% 벽을 뚫을 경우 막판 단일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준석 후보가 전날 중재자를 자처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등 '교섭 사절'을 계속 만나고 있고, 유세차를 겨우 4대만 동원하는 등 비용 지출을 최소화한 채 소극적인 선거 운동에 나서고 있는 것도 '희망'의 근거가 되고 있다.
한편 여론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