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임진영

ijy@ekn.kr

임진영기자 기사모음




현대건설, 23년만의 적자에도 웃는 이유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21 15:56

작년 1조원 넘는 어닝쇼크 손실… 2011년 현대차그룹 편입 이후 최초 적자 ‘쓴맛’ 봐

작년부터 2~3만원 ‘박스권 주가’ 갇혀… 3월말 이한우 사장 직접 나서 ‘원전 기업’ 선언

4월 주가 4만원 돌파 후 5만원선 ‘성큼’… 국내 주택 전문가 CEO ‘의외의 한수’ 통했다

현대건설

▲서울 종로구 현대건설 본사 계동 사옥 전경. 현대건설

현대건설이 작년 23년만의 적자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주가가 순항하고 있다. 올 3월까지만 해도 3만원 대 초반에 그치던 주가는 성큼 올라 최근 5만원 선을 바라보고 있다. 주택 전문가인 이한우 사장의 '원전 기업 선언'이 시장의 기대를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21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현대건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71% 오른 4만8950원에 장을 마쳤다. 현대건설 주가는 작년 한 해와 올해 초까지 2만원대에서 3만원 초반 수준의 박스권에 갇힌 채 움직일 줄 몰랐다.


반등의 계기는 지난 3월2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였다. 당시 현대건설은 위기 상황에 놓여 있었다. 같은 달 12일 현대건설은 2024년 영업손실 1조2209억원을 공시했다. 현대건설이 적자를 낸 것은 23년만으로, 2011년 현대자동차 그룹 편입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자회사 현대엔지니어링의 해외 플랜트 사업이 문제가 됐다. 인도네시아 발릭파판 정유공장 프로젝트와 사우디아라비아 자푸라 프로젝트(패키지2)에 현장에서 공사 원가가 상승했다. 국내서도 2월 말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을 맡은 서울세종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로 현대엔지니어링의 신규 수주 중단을 선언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현대건설의 한 해 전체 수주금액의 3분의 1을 책임지는 핵심 자회사로, 현엔 리스크가 치명타로 작용한 셈이다.




위기 타개책으로 이한우 현대건설 사장은 상장 건설사 가운데 최초로 대표이사가 직접 회사 미래 전략을 주주와 소비자들에게 제시하는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단행했다.


이 자리에서 이한우 사장은 대대적인 현대건설 체질 전환을 선언했다. 현대건설 미래 성장 전략인 'H-로드'의 핵심은 건설종가인 현대건설을 '원자력 중심 에너지 기업'으로 혁신하겠다는 비전이었다. 현대건설이 기존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소형모듈원전(SMR) 등 기술을 바탕으로 미국 원전 기업인 홀텍과 협력해 올 연말 미시간 주에 소형 원전을 짓는다. 대형 원전은 미국 웨스팅하우스사와의 협업을 통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영국과 유럽연합 지역 및 미국 등 원전 선진국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20년만에 처음 겪는 1조원 이상의 어닝 쇼크 위기 앞에서 이한우 사장의 돌파구가 '원자력 시장 공략'임이 알려지자 초반에는 의외라는 반응이 나왔다. 이한우 사장은 2016년 임원 승진 이후 커리어의 대부분을 국내 주택 사업에 몸담았다.


현대건설 CEO가 자신이 가장 익숙한 분야가 아닌 새로운 방향으로 위기 탈출을 선언하자 자본시장은 이를 예상하지 못한 '의외의 한방'으로 받아들였다. 이는 곧바로 주가 반등으로 이어졌다.


3월17일 3만1650원을 찍었던 주가는 인베스터 데이가 열린 3월 말 이후부터 반등했고 4월24일에 '마의 4만원' 선을 돌파했다. 5월 들어 현재는 어느덧 5만원 선을 바라보고 있다. 이한우 사장의 '한 수'가 현대건설 '어닝쇼크 극복'을 넘어서서 회사 가치 상승 시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는 것이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현대건설이 과거 국가 주도 수주 방식을 넘어 글로벌 기업들과의 장기 파트너십을 통해 수주 상품과 시장을 완전히 다변화시키고 있다"며 “현대건설은 건설업 최선호주를 넘어 원전 산업 대표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