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무디스도 美 신용등급 강등…3대 신평사 모두 ‘최고등급’ 박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17 09:32

미국 신용등급 ‘Aaa’→‘Aa1’ 하향…등급전망은 ‘부정적’→‘안정적’

FILES-US-ECONOMY-RATING-DEBT

▲무디스 로고(사진=AFP/연합)

미국에 유일하게 최고 등급을 유지해왔던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마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강등했다. 이로써 세계 최대 경제대국인 미국은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최고 등급을 잃게 됐다.


블룸버그통신, CNBC 등에 따르면 무디스는 16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장기발행자등급)을 Aaa에서 Aa1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무디스는 1949년부터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로 유지해왔다.


다만 등급 전망은 기존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조정됐다. 앞서 무디스는 지난 2023년 11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하고 등급 하향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무디스는 성명에서 “이번 강등은 지난 10년간 정부 부채가 급격히 증가한 데다 지불해야 할 이자가 비슷한 평가를 받는 다른 국가들보다 월등히 높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의 상당한 경제적 및 재정적 강점을 인정하고 있지만 이들은 더 이상 재정적자를 완전히 상쇄시키지 않는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는 지난해 6.4%에서 2035년 9%로 불어나고, GDP 대비 부채 부담 역시 작년 98%에서 2035년 134%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무디스는 이자 비용을 포함한 의무적 지출이 총 재정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4년 약 73%에서 2035년 약 78%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된다며 “과세와 지출에 대한 조정이 없다면 예산의 유연성이 제한적인 상태에 머물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관세 인상 영향으로 단기적으로 미국의 성장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장기 성장세가 의미 있는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는다"며 “또한 세계 기축통화로서 미 달러화의 지위는 국가에 상당한 신용 지원을 제공한다"라고 평가했다.


이같은 소식이 나오자 정겨장에서 전장대비 0.63% 상승한 'SPDR S&P500 ETF'(SPY)는 시간 외 거래에서 1% 급락했다.


무디스는 그동안 3대 국제신용평가회사 중 유일하게 미국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으로 유지해왔다. 앞서 피치는 지난 2023년 8월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 2011년 미국 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했다.


지난 2011년 S&P의 전격 등급 강등 당시에는 달러화 가치가 급락하고 글로벌 주가가 하락하는 등 국제금융시장이 큰 충격에 휩싸인 바 있다.


신용등급이 하향됨에 따라 미국 정부는 앞으로 국가채무를 줄이는 데 역점을 둘 것으로 보여 정부 예산 및 통화 관련 정책은 물론 통상정책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를 통해 국가 채무를 해소하겠다고 강조해온 만큼 교역국들에게 압박을 더 강하게 할 가능성도 있다.


브랜드와인 글로벌 투자관리의 트레이시 첸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이번 강등으로 투자자들은 국채에 대한 더 많은 이자를 요구할 것"이라며 “과거 피치와 S&P 강등 이후 미국 자산은 랠리를 펼쳤지만 미 국채와 달러에 대한 안전자산 역할이 불확실해진 만큼 시장이 다르게 반응할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