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사진=연합뉴스]
D-19일(15일 현재). 6·3 대선이 채 20여일도 남지 않았다. 선거 운동의 초반 국면이 마무리되고 있는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순으로 '1강 1중 1약'의 구도가 굳어지고 있다. 주요 정당들은 초반 판세 굳히기 또는 뒤집기 전략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15일 주요 여론조사기관들 따르면 최근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후보는 약 50% 안팎의 지지율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 김문수 후보는 30% 안팎, 이준석 후보는 10% 미만의 지지율로 뒤를 따르고 있다.
실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2~14일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를 보면 응답자 49%가 이재명 후보에게 투표하겠다고 답변했다. 김 후보가 27%, 이준석 후보가 7%로 뒤를 이었다. 해당 여론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한국갤럽(뉴스1 의뢰)이 지난 12~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51%, 김문수 후보 31%, 이준석 후보 8%를 각각 기록했다. 특히 중도층에서는 이재명 후보의 우세가 더 뚜렷했다. 56%를 얻어 김 후보 22%, 이준석 후보 10%를 크게 앞섰다.
대선 공식선거 운동 셋째·넷째 날 발표된 두 여론조사에서 모두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 지지율을 합산하더라도 이재명 후보에 미치지 못하는 '1강 1중 1약'으로 판세가 나타난 것이다.
주목되는 것은 이같은 지지율 추세가 국민의힘이 지난 9~10일 후보 교체 파동을 겪기 직전과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국민의힘 후보 선출 과정이 파행을 겪으면서 컨벤션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역대 대선에서 선거 운동 첫날 지지율 1위 후보가 항상 당선돼 왔다는 점에서 이재명 후보의 우세를 점치고 있다.
주요 정당 후보 캠프들은 중반에 접어 든 선거 운동의 '필승'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골몰하고 있다. 우선 이재명 캠프 측은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TV토론 등을 잘 활용해 김 후보에 대한 송곳 검증으로 우세를 굳히겠다는 태세다.
열세에 처한 김 후보 캠프 등 보수 진영에서는 남은 기간 최대 변수인 단일화를 놓고 고민하기 시작했다. 다만 이준석 후보 측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일축하고 있다. 시간도 촉박하다.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는 25일 이전에 단일화를 마쳐야 그나마 효과가 있다. 또 이준석 후보의 지지층이 고스란히 김문수 후보로 옮겨간다는 보장도 없다.
앞서 뉴스1이 한국갤럽에 의뢰한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와 이준석 후보 간 단일화에 대해서 응답자의 43%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찬성' 응답은 38%로 집계됐다. 각 지지층의 의견도 엇갈렸다. 국민의힘 지지층 가운데 76%가 단일화에 찬성했고, 반면 개혁신당 지지층 중 60%는 단일화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황태순 시사평론가는 “단일화를 한다면 이준석 후보가 자신만의 색깔을 잃고 정치 생명이 끝날 수 있어 현실화될 가능성이 없다"며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단일화보다 윤석열 전 대통령 문제를 정리하는 것이 우선순위 같다"고 강조했다.
한편 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