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롬 파월 연준의장(사진=AP/연합)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미국 경제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모두 증가하는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준은 7일(현지시간)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했던 지난 1월 이후 지금까지 세 차례 연속 동결이다. 이로써 한국(2.75%)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으로 1.75%포인트를 그대로 유지하게 됐다.
이번 FOMC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상호관세가 지난달 발효한 이후 첫 회의였다. 연준은 특히 이중 책무(물가 안정·최대 고용) 달성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더욱 어려워졌다고 진단했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둔화하면 물가도 낮아지고 실업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이중 책무를 둘 다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관세는 물가와 실업률을 둘 다 높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연준이 둘 중 하나를 우선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연준은 성명에서 “경제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 증가했다"며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이 증가할 리스크도 커졌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발표된 큰 폭의 관세 인상이 지속될 경우, 인플레이션 상승, 경제성장 둔화, 실업률 증가 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며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상당한 불확실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이어 “우리는 이중책무가 (서로) 긴장 상태에 놓이는 도전적인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며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나면 우리는 경제가 각 목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각 (목표와 현실 간) 간극이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중책무 중 어떤 게 더 대응이 시급하냐는 질문에 “그것을 알기엔 너무 이르다"며 “우리는 관망하기에 좋은 위치에 있다. 우리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파월 의장은 “경제가 견조한 모습을 보여왔다. 더 관망하기 위해 치르는 비용은 낮다"며 “언제까지 이럴지 모르겠지만 현재로선 기다리면서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명확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다른 나라들과 관세 협상을 진행하면서 관세의 규모와 그 영향이 더 명확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파월 의장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 개인과 연준에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게 연준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냐는 질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과 만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선 “어떤 대통령과도 (먼저) 만남을 요청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라며 “내가 만남을 요청한 이유가 없으며 항상 그 반대였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향해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 '루저'(loser)라고 비판하는 등 파월 의장과 연준을 향해 금리 인하를 지속해서 압박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