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사진=AFP/연합)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시세가 약 2달 만에 9만달러선을 재돌파한 가운데 비트코인이 기술주 중심의 미국 나스닥 지수에 비해 더 큰 상승폭을 보이면서 주목받고 있다.
23일 글로벌 가산자산 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한국시간 오후 12시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5.32% 급등한 9만2850달러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엔 9만3000달러선을 넘어서기도 했다. 비트코인이 9만3000달러대에 오른 것은 지난달 3일 이후 49일 만이다.
비트코인은 최근 들어 미 증시와 디커플링(탈동조화) 흐름을 이어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글로벌 관세 전쟁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되자 비트코인은 지난 7일 7만4000달러대까지 급락했다.
그러나 시세 반등에 성공해 지금까지 20% 이상 급등했다. 나스닥지수가 7일부터 22일(현지시간) 장마감까지 약 4% 오른 것과 대조적이다.
월간 기준으로 보면 비트코인은 이달에만 12% 가량 오른 반면 나스닥지수는 여전히 6% 가까이 하락한 상황이다.
비트코인 현물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도 지난 21일 하루에만 3억8100만달러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는 1월 30일 이후 최대 규모다.
이에 따라 그동안 비트코인이 그동안 나스닥지수와 함께 움직이던 오랜 경향에서 벗어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나스닥지수와의 디커플링은 비트코인 시세 상승의 호재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 시그널플러스의 오거스틴 판 파트너는 “미 자산과 디커플링이 지속된다면 비트코인을 가치 저장 수단으로 바라보는 장기 강세론이 다시 주목받을 수 있다"며 “비트코인이 나스닥 레버리지와 같다고 지난 1년 동안 비판해왔지만 마침내 비트코인이 디커플링되는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CNBC에 따르면 콤파스 포인트의 에드 엔겔 애널리스트는 “거시경제 관련 투매 현상이 일어났을 때 비트코인과 미 증시의 상관관계는 역사적으로 1.0에 가까웠지만 지난 30일 S&P500 지수와의 관계는 0.65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본격화한 것을 계기로 비트코인이 투기적 자산보다 금과 같이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안전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미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는 와중에 비트코인 시세가 급등하자 미국 자산과 디커플링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 달러화는 최근 가치가 급락해 3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비트코인이 7일 저점 이후 약 23% 반등한 만큼, 불확실한 시장에서 돋보이는 자산인 금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비트코인 전망에 대한 낙관론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호주 시드니 소재 가상화폐 헤지펀드 DACM의 공동 창립자 리처드 갤빈은 “비트코인이 기술주가 아닌 금처럼 거래되는 흐름이 계속된다면 디커플링 서사가 더욱 힘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페어리드 스트래티지스의 차트 분석가 케이티 스톡턴은 “비트코인의 주요 저항선은 8만8000달러"라며 “(저항선을) 성공적으로 돌파할 경우 단기적인 호재로 작용할 수 있으며 다음 저항선은 9만5900달러 근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