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동

dong01@ekn.kr

윤동기자 기사모음




표심과 경영성과 사이…고려아연, 주총 앞두고 ‘배당 수위’ 고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3.11 14:50

최윤범, 표 대결 앞두고 ‘주주 지지’ 필요
MBK·영풍, 주당 7500원 제안 표심 노려
지난해 중간배당 1만원 주식소각도 있어
주주환원 규모 4000억 넘어 순이익 2배
경영권 방어 vs 경영성과 사이서 딜레마

고려아연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전경

고려아연이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결산배당금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 고려아연을 경영하고 있는 최윤범 회장 입장에서는 이번 정기 주총에서 분쟁 상대방인 MBK·영풍 측의 이사회 장악 시도를 막아야 하는 상황이라 중립·소액주주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비철금속 업황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향후 경영성과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주들에게 통 크게 배당을 지급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재계에서는 주주총회 표심을 잡으면서도 경영성과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정 수준을 찾아야 한다는 진단이 나온다.


◇MBK·영풍과 표 대결 위해서는 배당금 높여야

11일 재계에 따르면 최근 고려아연 이사회는 정기 주총 표 대결을 앞두고 안건을 검토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관건은 기존의 이사회 구성을 방어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지난 1월 임시 주총에서 결의된 사항이 최근 법원의 가처분 판결로 대부분 폐기되면서 양 측이 다시 이사 선임을 위한 표 대결을 앞두고 있다.


특히 최 회장 측이 지난 임시 주총 직전에 '상호주 제한' 규제를 활용해 영풍의 의결권을 제한한 것이 잘못됐다는 법원의 결정 때문에, MBK·영풍 측이 기존에 확보한 40.97%의 지분을 온전히 표 대결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보다 10%포인트(p) 이상 지분율 격차가 벌어진 최 회장 입장에서는 중립·소액주주의 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때문에 중립·소액 주주의 이익을 확실하게 챙겨줄 수 있는 배당금을 활용해 표심 잡기에 나서야할 상황이다.


고려아연은 지난 2023년 2월 경영권 분쟁이 수면 아래에서 진행되던 도중 향후 3년 동안 배당성향 30% 이상을 유지하고 연 1회 중간배당을 추진해 주주들과 안정적으로 이익을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약속을 지키기 위해 2023년과 지난해 각각 주당 1만원의 중간배당을 단행했다. 중간배당을 포함해 고려아연은 최근 2년 동안 매년 순이익의 50% 이상을 배당으로 지급하고 있다. 지난 2022년 50.89%, 2023년 57.4%로 경영권 분쟁이 격화되면서 배당성향도 상향 조정되는 흐름을 보였다.


◇MBK·영풍이 주당 7500원 주주제안…경영성과 유지 쉽지 않아

문제는 이번 정기 주총에서 MBK·영풍 측도 중립·소액주주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회사에 주당 7500원의 배당을 주주 제안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8월 지급한 주당 1만원의 중간배당금을 고려하면 2024년도 주당 배당금으로 1만7500원이 적정하다는 시각이다. 2023년도의 1만5000원보다는 많지만 2022년도의 2만원보다는 적은 규모다. 이에 MBK·영풍 측은 고려아연의 평소 주주환원 규모를 고려하면 합당한 수준이라고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최 회장 입장에서는 문제가 간단치 않다. 경영권 분쟁만 고려한다면 MBK·영풍 측이 제안한 주당 7500원보다 더 많은 금액을 제시해야 하지만 향후 경영성과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MBK·영풍 측이 제안한 주당 7500원으로 배당이 결정된다 하더라도 고려아연의 지난해 전체 배당금(중간·결산 합산)은 3179억원 규모가 된다. 추가로 지난해 5월 944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하기도 했다. 이를 감안하면 주주환원 규모는 4123억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고려아연의 연간 당기순이익인 2155억원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결국 고려아연 경영진 입장에서는 MBK·영풍 측을 뛰어넘는 1만원 수준이 아니라 동일한 7500원의 배당금을 결정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재계에서는 최 회장 측이 비철금속 업황 악화와 환율 급등에 따른 외화자산손실 등을 이유로 주당 5000원의 결산 배당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사회를 방어해야할 절체절명의 상황이지만 경영성과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MBK·영풍 측에 공격의 빌미를 줄 수 있어 향후 더 악화된 상황에 놓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적자가 발생하면서 당기순이익이 크게 줄어든 상황이라 MBK·영풍보다 더 많은 금액을 결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MBK·영풍이 너무 과도하지 않지만 최 회장 측이 따라오기 어려운 적절한 금액을 먼저 제시한 것 같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