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자체 개발한 프리지아 신품종 '골드문'이 향후 8년간 200억 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됐다. 제공=충남도
충남=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충남이 개발한 프리지아 신품종 '골드문'이 향후 8년간 200억 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국내 화훼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로열티 부담 감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 농업기술원은 19일 발표를 통해 프리지아 육종 전문가와 농촌진흥청 농업경영 전문가들과 협력해 수행한 '지역특화작목 신품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이 분석에 따르면, '골드문'의 경제적 수명 기간 동안 142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64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사는 프리지아 '솔레이' 품종 30농가와 '골드문' 품종 13농가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농가현황, 재배현황, 총수입과 경영비, 애로사항, 만족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국산인 '골드문'의 종묘값은 138원으로, 네덜란드산인 '솔레이'의 660원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기존 국내 화훼 시장은 해외 품종 의존도가 높아 로열티 부담이 크고, 품종 등록 및 사용에 제한이 많았다"며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신품종 골드문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국내 품종 자립을 통한 화훼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골드문'은 2016년 최초 개발에 성공한 품종으로, 노랑색의 겹꽃이 특징이다. 다화성 품종으로 향이 매우 강하며, 꽃대의 직립성과 자구 증식률이 우수하다. 조생종인 특성 덕분에 1월부터 수확이 가능해, 졸업과 개학 등 소비량이 증가하는 시기에 맞춰 출하할 수 있어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