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경기남부광역철도 관련 브리핑을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10일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과 관련해 “도내 일부 기초단체장들 비판에 근거가 없다"고 일축하면서 “철도마저 정치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이날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언급하면서 “경기남부광역철도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고 경제부지사는 회견에서 “경기도는 제16호 경기도 청원 도지사 답변을 비롯해 그동안 여러 번 국토부가 요구한 우선순위 노선 3개 선정과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은 관련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이어 “40개 노선 중 3개만 찍으라는 국토부의 비현실적인 요구에 거절하는 방안까지 검토했지만, 전략적인 최소한의 대응을 해왔을 뿐"이라며 “경기남부광역철도는 도내 다른 어떤 노선보다 정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어서 그렇게 했다"고 해명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또 “경기남부광역철도는 문제를 제기한 기초자치단체장의 주장처럼 경제성(B/C)이 높은 사업"이라며 “이미 민간투자자가 국토교통부에 사업의향서를 제출하는 등 추진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도 철도 민간투자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현 추진상황을 설명했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의 기자회견 모습 제공=경기도
그러면서 “경기도 전체를 책임지고 있는경기도지사 입장에서는 당연한 선택"이라며 강조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특히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을 추진한 주체는 경기도였다"며 “성남. 용인 등 지자체와 '서울3호선 연장ㆍ경기남부광역철도' 관련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최적의 노선(안)을 마련한 주체는 경기도가 주도한 실무협의회였고 이 과정에서 마련된 노선(안)의 사업비 및 수요, 경제성 검토를 위한 용역은 수원시에서 뒷받침까지 해줬다“고 그간의 과정을 설명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상황이 이런데도 "최근 일부 기초자치단체에서 마치 우선순위에 들지 않으면 검토도 되지 않고 반영도 안 된다는 것처럼 부정확한 주장을 퍼뜨리며 도민 여러분들에게 불안을 야기시키고 있다“며 "일부 기초자치단체장들의 도를 넘은 경기도정 흔들기로 자칫 이 사업을 그르칠까 걱정까지 되는 상황"이라고 지자체장들의 성급함을 지적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사례로 "3차, 4차 계획에서도 각각 16개, 21개 계획이 반영된 바 있으며 이번 5차 계획도 상당수가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김동연 지사는 맹성규 국토위원장께도 적극적 추진을 위한 협의 요청과 의지를 전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전망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이와함께 "경기도가 책임지고 하겠다“며 "현재 관계부처와 깊이 대화하고 있고 매우 긍정적인 상황“이라며 기초지자체장들의 협조를 요청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끝으로 “도민들의 착시를 유발하는 행동을 즉각 중단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상일 용인특례시장과 신상진 성남시장은 지난 9일 각각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약속을 어기고 자신의 공약인 GTX 3개 노선을 우선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토록 하고 경기남부광역철도를 후순위로 밀어냈다고 비판하면서 반발했다.
이들 지자체장들은 경기남부광역철도는 B/C값이 1.2로 경제성이 상당히 뛰어난데다, 134만명의 인구가 이용 가능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