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건설기술 탐방 -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관련 건물과 기술을 소개합니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은 단열 성능을 극대화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하고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한 친환경 건축물을 뜻합니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해당 기준을 5개 단계로 마련해 등급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단말기가 설치된 분전반.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대기전력은 전자제품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콘센트만 꽂았을 때 소모되는 에너지를 뜻한다. 나도 모르는 사이 전력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에너지 흡혈귀'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를 차단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게 건물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함은 물론이다.
8일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2019년 70조9698억원에서 2023년 100조4455억원으로 40% 이상 커졌다. 최근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 발전으로 앞으로는 더욱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가전제품들이 똑똑해지면 대기전력 역시 늘어나는 구조다. 이런 가운데 공동 건물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규제는 따로 마련되지 않았다. '녹색건축물 지원 조성법'에서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라 대기전력차단 콘센트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한 규정이 있었으나 지난 2022년 7월 삭제됐다. 사용 불편과 잦은 고장 등이 원인이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설연)이 모바일 전력관리 기술을 적용해 개발한 '스마트 분전반' 시스템이 주목받는 배경이다. 이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전기 및 가스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에너지 절감과 안전한 가정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건설연은 한 가정에서 연간 평균 2700kWh의 전력을 소비한다고 분석했다. '똑똑한 가전' 보급이 늘어난 탓에 이 중 11% 가량(306kWh)은 대기전력으로 허공에 사라진다.
스마트 분전반은 내부에 모바일 기기로 제어가 가능한 전력 관리모듈을 탑재한 게 특징이다.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게 했다. 취침·외출 등 전력 공급이 불필요한 시간대 전력 차단을 자동으로 설정해 대기전력 소모를 막을 수도 있다.
건설연은 자체 시험 결과 이 기술을 통해 대기전력을 80% 이상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가구당 연간 약 2만8000원의 전력요금 절약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설치 비용은 기존 분전반과 콘센트형 대기전력 차단장치 설치 대비 25만원 증가하는 수준이다.
스마트 분전반 모듈 내부에는 온도, 스파크, 연기 및 가스 감지 센서도 들어 있다. 이를 통해 내부 화재를 감지하는 즉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고 원격으로 가스밸브를 차단해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분전반 시장은 그간 안전에 초점을 둬 발전해왔지만 스마트 기기와 전기차 등 보급이 늘며 친환경 기술에 대한 중요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