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가 '고난의 행군'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내·외 악재로 인해 기대감도 잦아드는 모양새다.
19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 1~5월 국내 철근생산량은 342만5000t로 전년 동기 대비 17.5% 감소했다. 1월에 7.7% 증가였던 점을 고려하면 2월 이후 상황은 더욱 좋지 않다.
6월 생산량이 65만7000t로 집계되는 등 4개월 연속 하락세도 이어지고 있다. 건설경기 부진이라는 직격탄을 맞은 탓이다. 봉형강·선재·강관 등 다른 제품의 생산량도 줄었다. 조강생산량 역시 2638만7000t로 6.2% 축소됐다.
업계는 계절적 비수기가 겹치면서 △판매량 감소 △평균판매가격(ASP) 하락 △제품 마진 축소를 비롯한 어려움이 3분기를 덮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현대제철의 인천공장 특별보수가 길어지고 동국제강이 야간에만 인천전기로를 가동하는 등 생산량 조절에 나서고 있으나 재고가 쌓여가면서 관련 비용도 불어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국내 제조사들을 상대로 3분기 전망을 조사한 결과 철강업종의 경기전망지수(BSI)는 79로 전분기 대비 13p 낮아진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3분기 상황이 2분기 보다 좋지 않을 것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79는 비금속광물과 제약에 이어 3번째로 낮은 수치다.
산업연구원(KIET)이 업종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이같은 어려움이 묻어나고 있다. 철강의 경우 지난해 2월부터 이번달까지 월별 업황이 기준치(100)를 넘은 것이 한 번 뿐이다. 전월 대비 경기가 좋지 않은 나날이 이어졌다는 의미다. 이번달은 56에 머물렀다.
익월 전망치도 지난해 1월부터 다음달 평균이 97.9로 집계됐다. 올해는 92.2로 악화됐고, 6월부터는 70~80대로 형성되는 등 6개월째 기준치를 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주요 제조업종 중 철강 보다 나쁜 수치를 보이는 분야를 찾기 힘든 수준이다.
그나마 수출 전망치는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서서히 낮아지는 추세다. 해상운임 급등으로 물류비가 높아졌으나, 원재료값 문제가 완화된 까닭이다.
실제로 철광석값은 지난 16일 기준 t당 96.74달러로, 2022년 11월말 이후 처음으로 100달러를 밑돌았다. 최근 1년으로 범위를 좁혀보면 지난해 8월 중순 100달러대 초반에서 올 1월5일 140달러를 돌파한 이후 하향세다.
KIET는 4월부터 5개월 연속 철강재 판매가격이 낮아졌고, 9월에도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가격 하락은 채산성 저하로도 전이되고 있다. 철광석값이 낮아진 것도 글로벌 수요 부진에 따른 결과다.
국내 시장에서 저가 수입산 철강재의 입지가 커지는 것도 악재다. 대한상의가 최근 국내 제조사들을 대상으로 중국산 저가 공세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철강업종에서 응답한 기업 중 35.2%가 '이미 경영 실적에 영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이는 전업종 평균을 7.6%p 상회하는 수치다.
박상봉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 항만의 철광석 재고도 지난해 최고치를 상회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현지 기업들이 생산성 저하에 대응하기 위해 감산 중이지만, 수요 둔화가 더 크게 나타난 셈이다.
중국 주요 철강사들은 8~9월 제품값 인하도 단행하고 있다. 특히 열연과 철근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까지 하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유통가격 하락을 비롯한 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1~5월 수출 물량이 늘어났으나 단가가 낮아지면서 무역수지도 악화되고 있다"며 “원가 절감을 비롯한 본원경쟁력을 높여도 수익성 반등이 쉽지 않은 국면"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