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한국이 13개 획득한 금메달…알고보니 가격도 120만원대 ‘신고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8.12 14:34
자랑스러운 양궁 남매

▲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레쟁발리드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 시상식에서 김우진과 임시현이 금메달을 목에 걸고 있다

한국 선수단이 2024 파리 올림픽에서 금메달 13개를 따내면서 메달 순위 8위를 차지한 가운데 이번 올림픽에 수여된 금메달 가격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금값과 은값이 상승하자 2024 파리 올림픽에서 금메달 가격이 900달러(약 122만9000원)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금메달에는 금 6g이 포함됐으며 은은 전체 무게의 92.5%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현물 금·은 가격은 올해 들어 각각 17.5%, 14.6%가량 상승한 상태다.


금값은 각국 중앙은행의 포트폴리오 다변화, 미국의 재정적자 확대 및 금리 인하 기대, 지정학적 긴장 등의 영향 속에 지난달 중순 온스당 2483.73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바 있으며 현재도 2425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금값 상승과 메달 무게 증가 덕분에 인플레이션을 감안해도 이번 대회 금메달 가격이 가장 비싸다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선수들로서는 금메달 자체보다는 포상금이나 군 복무 의무 면제 등을 통해 더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금메달 가격은 귀금속 가격 이상으로 매겨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1936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미국 육상선수 제시 오언스는 당시 독일 나치 정권을 비판한 바 있으며, 2013년 경매에서 그의 금메달은 150만달러(약 20억 4000만원) 가까운 금액에 낙찰됐다는 것이다.


한편 스위스 투자은행 UBS는 파리 올림픽을 비롯해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유럽 투어 콘서트 등이 유럽 지역의 인플레이션 요인이 된다면서, 올림픽으로 호텔·항공 수요가 늘면서 가격이 올라갔다고 평가했다.


UBS는 그러면서도 이는 주로 관광객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행사 개최가 현지 주민들의 실질적인 생활비 상승으로는 연결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이밖에 2028년 올림픽이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미 CNN방송은 올림픽 유치가 재정적으로 부적합해지고 있다는 이코노미스트 지적이 나온다고 전했다.


과도한 예산과 장기적인 부채, 낭비되는 인프라 시설, 주민 이주, 정치적 갈등과 환경 파괴 등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홀리크로스대학의 빅터 마테존 교수는 “파리 올림픽은 2000 시드니 올림픽 이후 처음으로 총비용이 100억 달러(약 13조6000억원) 미만인 대회가 될 것"이라면서 개최 희망 도시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