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일본산 제품에 대해서도 한국과 동일한 상호관세가 책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이재명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각각 수신자로 지정하면서 발송한 서한을 공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들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설정한 상호관세율을 서한으로 통보하겠다고 경고해왔는데 한국과 일본이 첫 수신자로 지정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친애하는 (이재명) 대통령께, 이 서한을 발송함으로써 양자 무역 관계에 대한 힘과 헌신을 입증하고, 당신의 위대한 나라와 상당한 무역적자가 있음에도 미국이 한국과 협력하기로 동의했다는 사실을 보여주게 돼 영광"이라며 “그럼에도 불고하고 우리는 무역을 이어가기로 결정했지만 더 균형있고 공정한 무역이 될 것"이라고 적었다.
이어 “우리는 한국과 무역 관계를 논의할 수 있는 수 년의 기간이 있었고, 한국의 관세와 비관세 정책 및 무역장벽에 따른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무역적자에서 벗어나기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의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적이지 않았다"며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미국에 수출된 모든 한국산 상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며 이는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고율의 관세를 피하기 위해 환적되는 상품에 대해선 이보다 더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것"이라며 “25%라는 숫자는 우리가 당신의 국가와 가지고 있는 무역적자의 차이를 없애는 데 필요한 것보다 훨씬 작다는 점을 이해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자로 지정한 채 한국에 25% 관세를 통보하는 서한을 7일 공개했다(사진=트루스소셜)
또 “알다시피 한국이나 당신 나라에 있는 기업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거나 제조하기로 결정한다면 관세는 없을 것이며 실제 우리는 인허가를 신속하고 전문적이며 정례적으로 해주기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어떠한 이유에서든 (미국에 대한) 관세를 올릴 경우 (한국에 부과한) 25%에 그만큼 추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한국의 관세와 비관세 정책 및 무역장벽으로 수년간 이어진 지속불가능한 무역적자를 바로잡기 위해 이런 관세가 필요한 점을 이해하기를 바란다"며 “이러한 무역적자는 우리 경제에 중대한 위협"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앞으로 수년간 무역 파트너로서 함께 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닫혀 있던 시장을 미국에 개방하고 (미국에 대한) 관세, 비관세 정책 및 무역장벽을 없애길 한다면 우리는 아마도 이 편지의 조정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신 나라와 우리의 관계에 따라 (서한에 적시된) 상호관세는 위로, 혹은 아래로 조정될 수 있다"며 “미국에 실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서한을 마무리하면서 협상의 여지를 강조했다.
서한에 적시된 관세율 25%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상호관세 25%와 같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지난 4월 9일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뒤 한국에는 지금까지 기본관세 10%만 부과한 상태로 무역 협상을 진행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에 발송한 서한에서는 수신자, 국가명, 미국이 8월 1일에 부과할 상호관세율 등을 제외한 나머지 내용은 동일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을 통해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25%로 적시했는데 이는 지난 4월 발표된 관세 24%보다 1%포인트 더 높다.
블룸버그통신은 한국에 대한 서한이 공개된 이후 뉴욕증시에 상장된 한국 기업들의 주식예탁증서(ADR) 가격이 급락했다고 보도했다. LG 디스플레이 ADR은 6.6%, SK텔레콤은 8.2%, 그라비티는 2.1%, 쿠팡은 1.9% 하락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대표 기업들 위주로 투자하는 '아이셰어즈(iShares) MSCI 코리아' 상장지수펀드(ETF)는 현재 3.65% 하락 중이다. 한국 시장대표지수인 코스피와 유사하게 움직이는 이 ETF는 국내 증시가 연휴 등으로 오랜 기간 휴장한 뒤 추이를 살펴볼 수 있는 가늠자 역할을 해왔다.
한편,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늘(7일)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유예 만료 시한을 내달 1일로 연기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