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왼쪽),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사진=AFP/연합)
미국 유권자들이 경제문제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보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더 신뢰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경제 분야에서도 주도권이 해리스 부통령으로 넘어갈지 관심이 쏠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1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FT와 미시간 대학교 로스 경영대학원이 지난 1~5일 미국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42%는 해리스가 경제를 더 잘 다룰 것으로 믿는다고 답한 반면, 41%는 트럼프를 더 신뢰한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지난달과 비슷했지만 해리스 부통령의 지지율은 7월 바이든 지지율에 비해 7% 포인트 상승했다.
1년 전부터 매달 실시하는 이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후보가 경제 분야 신뢰도에서 공화당 후보를 앞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에릭 고든 미시간대 교수는 FT에 “해리스 지지율이 바이든보다 높게 나왔다는 것은 바이든이 그동안 얼마나 잘못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응답자들은 인플레이션을 11월 대선의 가장 큰 우려 사항으로 꼽았다. 유권자의 19%만이 2021년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했을 때보다 현재가 더 낫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해리스 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보다 더 나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마냥 안심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경제 불안은 여전히 트럼프 후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유권자 4명 중 1명만이 현재 경제 사정이 '좋다' 또는 '양호하다'고 평가했으며, 42%는 트럼프가 다시 집권하면 경제 상황이 '훨씬' 또는 '어느 정도' 나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해리스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경제 상황이 '훨씬' 또는 '어느 정도' 나아질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3%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60%는 해리스가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 정책과 완전히 결별하거나 그의 경제정책 틀을 '대폭 바꿔야 한다'고 답했다.
고든 교수는 “이번 여론조사는 선거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던 민주당에 좋은 소식이지만, 유권자들은 여전히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면 경제가 더 나아질 것으로 보기 때문에 우려가 사라지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중국과의 무역정책에 대해서도 트럼프에 대한 지지가 높았다.
유권자의 43%가 중국과의 경제 관계를 다루는 데 트럼프를 더 신뢰한다고 답했고 해리스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39%였다.
한편, 이번 대선에선 경제 이슈뿐만 아니라 흑인 남성의 표심도 승부를 가를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적지만 유의미한 수의 흑인 남성들이 역사적으로 권력의 최상위직에 도전하는 흑인 여성을 지지하는 데 주저해왔다면서 이들이 오는 11월 대선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짚었다.
이를 의식하듯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에 대한 흑인 남성의 지지를 자신하며 표심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지난주 한 기자회견에서 “나는 흑인 남성들과 아주 잘 지내는 것 같다"고 자평했다.
또한 불법 이민자들이 흑인의 일자리를 차지한다고 주장하고, 민주당이 흑인 유권자들을 버렸다고 비난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 캠프의 참모들도 트럼프 전 대통령 쪽으로 이탈한 일부 흑인 남성 유권자들이 트럼프를 '힘의 형상화'로 간주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들의 지지를 되찾아와야 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