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7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서예온

pr9028@ekn.kr

서예온기자 기사모음




쿠팡 물류 vs. 알리 역직구, ‘한-중 이커머스’ 정면승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31 15:20

알리 1.5조 수준 투자에 쿠팡 3조 추가투자 맞불

알리, 韓제품 수출 지원·수수료면제로 확장 ‘공격’

로켓배송 쿠팡, 물류 인프라로 유통망 장악 ‘방어’

“빅2 양강구도 이커머스 시장재편 가속화” 전망

알리바바닷컴

▲마르코 양 알리바바닷컴 한국 지사장(왼쪽)과 심태진 프롬바이오 대표이사가 지난 27일 파트너사 초청행사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쿠팡이 물류인프라 확충에 3조 추가 투자를 발표해 알리 국내 시장 공세 강화에 맞불을 놓은 가운데, 알리도 최근 국내 셀러 키우기로 세력 확장에 집중하고 있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 두 기업은 '로켓배송(쿠팡) 대 직구플랫폼(알리)'로 사업모델이 달라 단순비교하긴 어렵지만 결국 국내 이커머스 시장 장악하겠다는 목표는 동일해 '이커머스 왕좌'를 놓고 치열한 경쟁 예고하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알리 모회사인 알리바바그룹은 국내 판매자 수수료 면제 연장, 국내 기업 해외 수출 지원 등 최근 국내 시장 공세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알리가 한국 제품이 입점해 있는 K-Venue 수수료 면제 정책을 오는 6월까지 연장한데 이어 알리바바닷컴을 통해 한국 기업의 해외 수출을 지원하는 '한국 산업 리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같은 알리의 국내 셀러 키우기는 한국 시장에 대한 투자다. 앞서 알리바바는 정부에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국내 셀러의 글로벌 판매를 돕는데 1억달러(약 1316억원)를 투자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바 있다. 우수한 한국 상품을 발굴하기 위한 소싱센터를 설립하고, 오는 6월에는 수출 플랫폼 역할을 할 글로벌 판매 채널을 개설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알리의 국내 셀러키우기는 쿠팡의 전략과 유사하다. 쿠팡은 일찍이 커머스 사업을 통해 국내 셀러들의 판로를 지원하고, 더 나아가 최근엔 대만에 진출해 중소기업들의 수출을 지원하고 있다.




쿠팡은 2022년 10월부터 대만에 로켓직구와 로켓배송을 론칭했다. 그 결과 지난해 9월말 기준 쿠팡을 통해 대만에 진출한 중소기업은 1만2000곳을 돌파했다. 지난해 해외 수출한 국내 소비재 중소기업 수가 4만2592곳인 점을 감안하면 국내 중소기업의 약 28% 수준이 쿠팡을 통해 대만에 진출한 셈이다.


업계에선 알리가 쿠팡보다 여러 국가에 진출(190개 이상 국가 및 지역서 서비스 제공)해 있는 만큼 국내 기업 수출 지원이 보다 큰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쿠팡은 최근 알리가 1조5000억원 수준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국내 시장 공세를 강화하자 물류 인프라 확충 위주의 3조원 대규모 투자로 대응에 나섰다.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3년간 3조원 이상을 투자해 전국 대부분 지역에 무료 로켓배송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업계에선 쿠팡의 이같은 대응을 국내 시장 1위를 굳히기 위한 초격차 전략으로 풀이하고 있다. 쿠팡은 지난해 31조 매출‧첫 연간흑자 달성으로 국내 유통시장 1위 업체로 자리매김했다.


알리가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국내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지만 올들어 연내 물류센터 설립을 검토하는 등 물류 인프라가 부족한 만큼 이를 더욱 강화해 확고한 배송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한국유통학회장 출신 서용구 숙명여대 교수는 “한국 이커머스 시장은 향후 쿠팡과 알리 2강 구도로 갈 것"이라며 “2강 구도가 굳혀지면 나머지 이커머스 기업들의 구조조정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