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이 26일 인천 중구 하버파크호텔에서 열린 제59기 정기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현대제철이 주주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서강현 사장 등 경영진이 직접 주주들의 사전 및 현장 질의에 응답하며 회사의 전략을 소개한 것이다.
현대제철은 인천 중구 하버파크호텔에서 제59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날 주총에서는 재무제표 승인·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선임·이사 보수한도 승인 등의 안건이 통과됐다.
김광평 재경본부장과 이성수 봉형강사업본부장은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됐다.
서 사장은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철강경기 약세와 원료값 및 에너지 비용 상승 등 쉽지 않은 경영환경이지만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춰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성장이 가능한 친환경 철강사'라는 목표로 수익성 중심의 안정적 사업기반을 확충하고 탄소중립 로드맵도 실현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또한 “전기로-고로 복합프로세스 생산체게를 구축하는 중으로 저탄소화된 자동차용 제품 생산이 목표"라며 “대규모 비철소재 사업 확대는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부연했다.
공급과잉에 대한 질문에는 “차별성 있는 강재 개발을 통해 신규 수요 증가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특히 “전기차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고강도 경량 차강판을 개발하고 내진·내화강재 등 고성능 건설강재 제품군 확대로 시장점유율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서 사장은 “해상풍력 및 친환경에너지 운송용 강재도 만들 것"이라며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생산거점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매년 2000억원 이상의 관련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며 “올해는 추락·끼임·부딪힘을 줄이고 화재 및 폭발 등의 사고 예방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주주환원 정책에 대한 질문에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발맞춰 중장기 투자와 수익성 및 재무구조 개선을 고려한 균형잡힌 배당 정책 수립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도 대답했다.
이어 “투자자 예측 가능성 개선을 위한 향후 3년에 대한 배당 정책 등을 올해 안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사장은 현대차그룹의 도심항공교통(UAM)과 로봇 등 미래모빌리티 및 수소생태계 내 현대제철의 역할 등에 대한 의견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