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7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삼성, 차세대 바이오 ‘ADC·유전자치료제’에 화력집중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21 17:58

삼바·에피스·삼성물산 공동펀드 투자 5건 모두 선택과 집중
2021년 결성 계기 CDMO·바이오시밀러 잇는 ‘신수종’ 확보
2026년 글로벌수요 각각 17조, 42조 겨냥 바이오삼성 기대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난 2월 16일 인천 송도 삼성바이오로직스 제5공장 건설현장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가운데)이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왼쪽 1번째)와 함께 관계자 브리핑을 듣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삼성그룹의 바이오사업 양대 축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삼성물산과 함께 차세대 유망 바이오의약품인 '항체약물접합체(ADC)'와 '유전자치료제' 사업 확대에 나선다.


21일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따르면, 삼성그룹이 생명과학 분야 신기술 및 사업개발을 위해 조성한 바이오 벤처투자 펀드 '삼성 라이프사이언스 펀드'는 출범 후 5번째 투자대상 기업으로 미국 바이오벤처 '브릭바이오'를 선정했다.


삼성 라이프사이언스 펀드는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 출자해 조성한 벤처투자 펀드로, 삼성벤처투자가 신기술투자조합(SVIC)을 결성해 운용 중이다.


총 출자규모는 1700억원으로, 삼성물산 출자금액 990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 495억원, 삼성바이오에피스 200억원, 삼성벤처투자 15억원 등이다.


지난 2021년 결성된 이 펀드는 2022년 3월 미국 바이오벤처 '재규어진테라피'를 시작으로 이번 브릭바이오까지 총 5개 기업에 투자했다.




1호 투자기업 재규어진테라피는 세계 최고가 의약품으로 불리는 척수성 근위축증 유전자치료제 '졸겐스마'를 개발한 연구진들이 2019년 설립한 바이오벤처로,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AAV, 치료용 유전자를 감싸서 타겟 세포까지 운반하는 운반체)' 유전자치료제 분야에 선도적인 업체다. 유전자와 관련된 대사질환, 자폐증, 1형당뇨 등에 관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JP모건에 따르면 유전자치료제는 기존 치료제가 없는 다양한 유전질환에 활용될 수 있어 세계 유전자치료제 시장은 2021년 50억달러(약 6조6000억원)에서 2026년 320억달러(약 42조4000억원)로 5년새 6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이번 5호 투자기업 브릭바이오를 비롯해 3호 투자기업 스위스 '아라리스바이오텍', 4호 투자기업 한국 '에임드바이오'는 항체약물접합체(ADC) 분야의 바이오벤처다.


삼성라이프사이언스펀드의 바이오벤처 투자 내역

삼성라이프사이언스펀드의 바이오벤처 투자 내역

▲자료=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ADC는 암세포를 죽이는 '약물'과 암세포를 찾아가는 '항체'를 '링커'라는 접합물질로 결합한 차세대 표적항암제로, 아라리스는 독자적 링커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에임드바이오는 환자 특성에 맞는 ADC 개발 플랫폼, 브릭바이오는 인공 아미노산을 활용한 ADC 링커와 유전자치료제 AAV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항암제의 대세로 불리는 ADC는 글로벌 시장규모가 2022년 59억달러(7조8000억원)에서 2026년 130억달러(약 17조2000억원)로 4년새 2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이밖에 2호 투자기업인 센다바이오사이언스는 천연물질 유래 나노입자로 최적의 약물전달체를 만드는 플랫폼 기술을 개발해 삼성펀드로부터 약 190억원을 투자받았다.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따르면, 삼성그룹의 바이오사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양대 축이 돼 주도하고 있다.


즉, 삼성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력사업인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과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주력사업인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및 바이오신약을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은 동시에, ADC·유전자치료제 등 바이오벤처에 대한 재무투자를 통해 바이오사업 확대를 꾀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라이프사이언스 펀드는 재규어진테라피에 대한 투자를 시작으로 글로벌 바이오 핵심기술 육성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위해 유망기술 발굴과 국내외 혁신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