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나리아바이오 CI
카나리아바이오의 상장폐지 관련 절차가 시작됐다. 감사보고서 작성 시즌을 맞아 두 종목에서 완전자본잠식 등이 확인된 것이다.
카나리아바이오는 지난해 7월 구속돼 재판을 받고 있는 전직 회계사 출신 이준민 씨와 그 일당이 경영과 지배구조 전반에 깊숙하게 관여한 종목이다.
◇완전자본잠식…'오레고보맙' 대규모 손상차손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카나리아바이오는 내부결산 결과 완전자본잠식과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법인세비용 차감전 사업손실이 확인됐다고 지난 2월 29일 공시했다.
완전자본잠식은 코스닥 상장법인의 상장폐지 요건이며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사업손실은 관리종목 지정 요건이다.
이를 확인한 한국거래소는 투자자보호를 위해 상장폐지 사유를 해소하기 전까지 카나리아바이오의 거래를 즉각 정지했다.
카나리아바이오가 완전 자본잠식에 빠진 이유는 자회사를 통해 보유 중인 주요 무형자산 오레고보맙의 손상차손 때문이다.
지난 1월 카나리아바이오는 일부 언론에 오레고보맙의 글로벌 임상 3상에 대해 임상시험 중단을 권고받았다고 밝혔다.
문제는 오레고보맙의 무형자산 규모가 1456억원에 달했다는 점이다.
이는 해가 바뀐 뒤 전해진 소식이지만 K-IFRS 제1010호에 따른 '보고기간 후 사건'으로 인정받아 지난해 재무제표에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 결과 카나리아바이오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자산규모가 지난 2022년 2712억원에서 지난해 1294억원으로 52.28%(1418억원) 줄었다고 밝혔다. 오레고보맙의 자산가치가 대부분 손상차손 처리된 것으로 분석된다.
자산규모가 크게 줄면서 지난해 카나리아바이오의 자본잠식률은 386.8%에 달하며 완전자본잠식상태가 됐다.
◇주가조작 세력에 이용당한 '오레고보맙'
이 상황은 단순한 바이오기업의 임상실패와 그에 따른 재무위기라고 해석하기는 어렵다. 회사 전반에 주가조작을 펼친 세력이 관여했기 때문이다.
주가조작세력이 활용한 '펄'이 바로 오레고보맙이다.
그동안 오레고보맙은 가치가 크게 부풀려졌다는 의혹을 받는 물질이다.
오레고보맙을 개발한 캐나다의 온코퀘스트는 지난 2019년 자산총계가 약 41억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2020년 OQP(현 휴림에이텍)라는 코스닥 상장법인이 온코퀘스트로부터 오레고보맙을 3651억원을 주고 취득한다.
온코퀘스트에 있을 때는 수십억원에 불과한 자산이 OQP로 넘어오자 수천억원이 된 것이다.
결국 이런 계산법은 그해 외부감사에서 인정받지 못한다. 오레고보맙의 자산양수계약과 관련해 주식의 현물출자를 진행하려다가 법원에서 이를 불허했기 때문이다.
이에 회사 측이 주장하는 오레고보맙의 가치를 외부감사인도 인정할 수 없게 되면서 감사보고서에 대한 의견거절이 내려졌다.
이에 주가조작 세력은 오레고보맙을 K-OTC 등록사인 두올물산(현 카나리아바이오엠)으로 옮긴다. 이후 오레고보맙에 대한 자산가치를 다른 회계법인을 통해 인정 받는다.
이어 두올물산이 코스닥 상장법인 현대사료를 인수한 뒤 다시 오레고보맙을 현대사료로 넘겨주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거래정지 직전까지 계속된 기만
이 과정은 결국 주가조작세력의 작전으로 드러나는 중이다.
지난해 7월 남부지방검찰청은 오레고보맙을 이용해 주가조작을 펼친 이준민 등 카나리아바이오 관계자를 무더기 기소했다. 여기에는 오레고보맙의 자산가치를 부풀힌 혐의로 관련 보고서를 작성한 회계사와 해당 회계법인 관계자도 포함됐다.
이 씨 등은 K-OTC 등록사였던 카나리아바이오엠의 주가 조작으로 7000억원이 넘는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혐의로 추가기소까지 됐다.
카나리아바이오 주주들은 해당 세력이 재판을 받는 중에도 끝까지 투자자들을 기만했다고 호소하는 중이다.
오레고보맙의 임상 중단 권고 이후 주가가 크게 떨어지자 대규모 손상차손을 우려하는 주주들에게 이창현 카나리아바이오 대표가 임상 진행을 위한 입장문을 발표할테니 “기다려달라"고 했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 대표가 입장문을 발표한다고 했던 날 카나리아바이오의 거래정지 소식이 먼저 전해졌다. 결국 이 대표는 입장문이 아닌 사과문을 올렸다.
이에 대해 한 카나리아바이오 주주는 “회사는 대규모 손상차손과 자본잠식을 알았으면서 주주들에게 기다려달라고만 했다"며 “탄원서 제출과 항의집회 등으로 이제라도 회사 측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