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금감원) |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62%였다. 올해 3월 말 대비 0.01%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2.98%, 기본자본비율 14.27%,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53%로, 3월 말보다 각각 0.08%포인트, 0.01%포인트, 0.04%포인트 올랐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위험자산 가중평가) 대비 자기자본 비율이다.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규제비율은 보통주자본 7.0%, 기본자본 8.5%, 총자본 10.5%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3%다.
대출 증가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37조9000억원 늘었지만, 분기순이익 시현,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자본도 6조2000억원 늘면서 자본비율이 소폭 올랐다.
6월 말 현재 모든 국내은행이 규제비율을 상화했다. 총자본 증가율이 위험가중자산 증가율을 상회한 5개 은행(씨티, 산업, 수출입, KB, DGB)은 전분기 말보다 총자본비율이 상승했다.
총자본이 소폭 감소하거나 상대적으로 위험가중자산 증가 폭이 큰 12개 은행(카카오, 토스, 수협, SC, JB, BNK, 우리, 기업, 하나, 신한, 농협, 케이뱅크)은 총자본비율이 하락했다.
금감원은 "국내 모든 은행의 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을 상회하는 등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며 "다만 최근 환율, 금리가 상승하는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중국 부동산 경기 부진 등 대내외 경제여건도 악화되고 있는 만큼 충분한 자본여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에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자본적정성 감독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자본비율 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상대적으로 자본비율이 취약한 은행을 중심으로 자본적정성 관리를 강화토록 하는 한편, 내년 5월부터 은행의 경기대응완충자본 적립의무 부과, 스트레스 완충자본 제도 도입 등을 차질없이 준비해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한 충분한 자본여력을 갖추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