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정복 인천시장이 28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인천지역 탄소중립·녹색성장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MOU 체결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
이날 협약에 참여한 기업은 HD현대인프라코어, SK인천석유화학, 셀트리온, 포레스코,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인천종합에너지 등이다.
2023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 연계 행사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유정복 인천시장, 임상준 환경부 차관과 인천 소재 7개 협약기업 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2026년부터 시행되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세’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대두됨에 따라 탄소-경제가 통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중앙정부·지방정부·기업이 함께 협력하고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탄소국경조정세는 탄소 배출량이 많은 제품을 수입할 때 기준치보다 초과된 배출량에 대해 수입업자가 비용을 더 내도록 하는 제도다.
이로써 탄소중립 리더도시인 인천은 전 세계 최고 이슈인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기업이 협력하는 탄소중립 선도사례를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 |
▲유정복 인천시장이 28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인천지역 탄소중립·녹색성장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MOU 체결식’에서 임상준 환경부 차관 및 기업 대표들과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왼쪽부터 인천종합에너지 전태현 대표이사, 한국남부발전 이승우 사장, 한국남동발전 김회천 사장, 유정복 인천시장, 임상준 환경부 차관, 셀트리온 윤정원 사장, SK인천석유화학 반한승 부사장, HD현대인프라코어 이윤상 공장장, 포레스코 정연원 대표이사) 사진제공=인천시 |
유정복 인천시장은 협약식에서 "오늘 협약 체결은 글로벌 탄소-경제 패러다임을 준비하는 중앙정부-지방정부-기업이 협력하는 최초사례로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기반 산업의 선제적이고 경쟁력 있는 탄소중립을 증진을 위한 제도와 정책을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기업과 발전사에서 저탄소 경영과 화석연료 에너지의 친환경 전환 등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실효성 있는 대안이 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은 각 국가의 적응계획 수립·이행·협력 방안을 마련하고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세계 최대규모 적응주간 행사다.
‘적응의 새로운 시대, 적응의 확대와 변혁’을 주제로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적응 논의를 한 단계 진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이날부터 오는 9월 1일까지 5일간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되고 있다.
인천=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sih3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