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
하 의원은 2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중국 공산당도 한국 (더불어)민주당이 너무한다(고 한다)"며 "(중국 공산당도 오염수 방류) 반대하는 것은 똑같은데 중국 수산물 문제 있다고 얘기 안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 세계 정당 중에 한국 민주당만 일본 방류 때문에 우리 수산물도 위험하다(고 한다)며" "그래서 수산물 소비 심리가 위축된 나라가 한국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또 "중국 공산당이 선동 안 하기 때문에 중국 분들 회 잘 먹는다"며 "민주당 욕해야 된다. 민주당 때문에 소비심리가 위축되는 거지 일본 때문이 아니다"라고 거듭 질타했다.
또 "이재명 대표가 해운대 와 가지고 해운대 바다가 오염된다(고 하는데) 무슨 해운대 바다가 오염되나. 심지어 후쿠시마 사고 났을 때도 문제 없었다"라며 "민주당이 반성하고 의원들 전부 다 회 먹는 사진 페이스북에 올려야 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하 의원 논조와 달리 그간 중국은 일본 오염수 방류가 자국 해양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해왔다.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지난 22일 다루미 히데오(垂秀夫) 주중 일본 대사를 초치해 "전 세계 해양환경에 대한 예측할 수 없는 손상과 피해를 방지할 것을 촉구한다"고 항의했다.
그러면서 오염수 방류를 "중국을 포함한 주변 국가와 국제사회에 공공연히 핵 오염의 위험을 전가하고 지역과 세계 각국 민중의 복지보다 자신의 사리사욕을 우선시하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나 일본은 이런 중국 측 항의에도 이날부터 오염수 방류를 진행한 것이다.
그러자 중국은 그간 후쿠시마현을 포함한 일본 10개 지역 수산물 수입 금지를 일본 전역으로 확대하는 초강수로 맞받았다.
한 일본 기자는 이날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 정례브리핑에서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신뢰하지 않느냐고 묻기도 했다.
하지만 왕 대변인은 "핵 오염수가 안전하다면 해양에 배출할 필요가 없고, 안전하지 않다면 더욱 해양에 배출해서는 안 된다"며 일본 측이 주장한 ‘안전성’을 불신했다.
하 의원은 이밖에도 "민주당도 지금 강한 반대 입장을 보이는 이유가 내년 1월쯤에 방류해야 되는데 지금 방류했다고 화를 내는 것"이라며 "총선 전에 방류를 해야 총선을 한일전으로 또 몰고 갈 거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박광온 민주당 대표가 지난 6월 "일본 정부에 내년 초까지 최소 6개월 동안 해양 투기를 보류할 것을 요구해야 한다"며 "이 기간 동안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상설 협의체를 구축해서 포괄적으로 환경영향평가 등을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한 데 대한 비판이다.
당시 박 원내대표는 "상설 협의체 안에 한일 전문가 그룹을 설치하고, 일본이 검토했던 5가지 방안을 공동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며 "안전한 처리 방안이 확인됐을 때 그 방안으로 생기는 재정비용을 우리나라와 주변국들이 지원하겠다고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제사회의 객관적 검증을 요청해야 하고, 한일 양국이 자국민 설득 작업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며 "서로 합의한 보류 기간이 종료되면 즉각적으로 국제 해양법 재판소에 대한 잠정 조치를 청구하고 그 결과 한일 양국이 받아들일 것"이라고 했다.
이에 하 의원은 "그때 그 메시지 보고 이상했다. 방류 반대하는 사람이 왜 6개월 방류 보류를 해 달라는 발언을 하나"라며 "내년 1월쯤 방류하는 게 민주당 입장에서는 정치적으로 제일 좋기 때문에 그 속마음이 드러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