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이레

gore@ekn.kr

여이레기자 기사모음




디스플레이협회, EU 과불화화합물(PFAS) 규제 유예 의견서 제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24 13:41
0824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KDIA CI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CI.

[에너지경제신문 여이레 기자]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24일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를 대표해 유럽연합(EU) 당국에 디스플레이업계에 사용되는 과불화화합물(PFAS) 12종에 대한 충분한 유예기간을 확보해달라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패널기업(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과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후방산업(소재 ·부품·장비)의 의견을 취합해 2개의 의견서를 유럽화학물질청(ECHA)에 제출했다.

PFAS는 탄소와 불소의 강한 결합으로 이뤄진 물질로, 물과 기름에 쉽게 오염되지 않고 열에 강해 산업계 전반에 걸쳐 사용 중이다. 다만 자연적으로 잘 분해되지 않아 자연계나 체내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어 ‘영원한 화학물질’이라고도 불린다.

EU는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5개국이 ‘고잔류성 기준 초과’를 근거로 제안한 PFAS 전면 사용제한을 검토하기 위해 지난 2월 유럽화학물질청(ECHA)의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 규제 확대 제한보고서를 공개했다.

EU는 PFAS 사용 제한옵션 및 예외적 사용지침 등 PFAS 제한조치의 최종안 검토를 위해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다음달 25일까지 진행하고 있다.

EU는 오는 2024년 이후부터 위해성 평가위(RAC) 및 사회경제성 분석위(SEAC)에서 최종 평가의견을 결정하고 2025년 유럽연합집행위원회에서 채택한 후 빠르면 2026년부터 사용 제한 조치를 적용할 계획이다.

디스플레이산업에서 PFAS는 디스플레이 제조과정의 소재 및 부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협회는 "EU의 PFAS 제한 조치가 시행된다면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 및 인프라 등 디스플레이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디스플레이산업에 사용되는 PFAS 물질은 대체물질이 없거나 대체물질을 탐색하고 상용화 연구에까지 장시간 소요되어 EU가 제시한 13.5년(18개월+12년)도 불충분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라며 "이러한 의견을 뒷받침하기 위해 대체재 현황, 물질 개발 등 관련 자료를 의견서에 포함했다"고 했다.

또한 업계가 EU의 PFAS 사용제한 취지에 공감하고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즉각적인 non-PFAS 생태계 구축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애로사항을 의견서에 담았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우리 업계는 그간 탄소배출 저감, 유해물질 최소화, 저전력 기술 도입 등 환경 문제에 대응 역량은 충분히 갖췄다"면서도 "non-PFAS 기술 필요성이 최근에 등장한 만큼, 급격한 이행으로 인한 환경·사회·경제 등에 발생가능한 부수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예기간 적용 및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 부회장은 이어 "앞으로 EU 등 글로벌 환경규제가 새롭게 신설, 강화되는 만큼 협회는 세계디스플레이생산국협의체(WDICC) 등과 적극 공조해 글로벌 규제 동향을 모니터링 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업계에 잘 전파해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