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대놓고’ 이재명 구속 대비하는 친명, 고리는 윤관석·김은경·이낙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17 21:11

202308170100094320004518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백현동 특혜개발 의혹과 관련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17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조사실로 향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법 리스크에 대처하는 친 이재명(친명)계가 이 대표 구속 상황을 가정한 논의를 공개적으로 시인했다.

친명계는 그간 ‘11월 사퇴설’, ‘옥중 공천설’ 등 세간에 떠도는 ‘설’을 강하게 부인했었지만,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친명계 지도부인 박찬대 최고위원은 17일 MBC 라디오에서 "(검찰이) 국회 회기 중 (이 대표) 체포동의안을 보낼 것으로 보인다"며 "(법원) 영장 실질심사 결과, 정말 구속이 결정된다면 민주당에 심각한 위기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에 하나 영장이 발부된다면 어떻게 해야 되나’라는 플랜B 고민도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이 대표 구속 시에도 당 대표를 중심으로 당이 결속해야 한다는 입장인가’라는 물음에 "개인적인 제 생각으로는 필요하다면 그것도 가능하지 않나"라고 답했다.

이 대표가 옥중에서 당 대표직을 내려놓지 않는 시나리오까지 부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설령 구속되더라도 내년 총선 공천권을 놓지 않을 것이란 이야기를 이 대표가 했다는 이른바 ‘옥중 공천설’과도 맥이 닿아 있다.

친명계가 이런 설과 관련되는 이야기까지 완전히 부인하지 않은 데는 크게 △ ‘돈 봉투’ 사건 관련 윤관석 의원 구속 △ 김은경 혁신위원장 ‘설화’로 인한 대의원제 폐지 동력 상실 △ 이낙연 전 대표의 호남 행보 등이 배경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돈 봉투’ 사건과 관련해 민주당 출신 윤관석·이성만 의원 구속 여부가 엇갈린 것은 ‘증거 인멸’ 우려에 대한 판단이 주효했다.

윤 의원은 영장심사를 전후로 검찰 수사가 정치 보복이라며 혐의를 부인했고, 불구속 수사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법원은 "증거인멸 염려"를 이유로 영장을 발부했다.

같은 날 따로 심사를 받은 이 의원의 경우 혐의 관련 자료가 상당 부분 확보된 현재 수사 단계 등을 고려할 때 ‘증거 인멸’ 우려가 크지 않다는 판단에 구속영장이 기각됐다.

이재명 대표는 워낙 혐의가 넓고 관련자들이 많아 ‘증거 인멸’ 우려가 인정되는 경우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실제 이날 박 최고위원도 이 대표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 핵심 당사자로 꼽히는 이화영 경기도 전 평화부지사에 대한 ‘회유·압박’ 의혹을 해명했다.

그는 자신이 이 전 부지사 아내와 직접 통화한 것이 논란을 낳자 "제가 전화를 드렸다든가 그분한테 전화를 받았다든가 한 것은 아니다"라며 "(사석에서 만난 이 전 부지사 지인이) 전화를 받은 것인데 갑자기 저를 바꿔주시더라. 상대방이 누군지 모르고 받았는데 이 전 부지사의 부인이었다"고 해명했다.

다만 박 최고위원 해명을 사실로 보더라도, 그가 직접 전화를 건 상황을 가정할 때 회유·압박 소지가 있다는 것을 전제한 셈이 된다.


이 대표와 관련자들이 모든 혐의자들과 직·간접적으로 연락하는 것을 전면 차단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증거 인멸 ‘가능성’ 자체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게 되는 것이다.

이미 비 이재명계에서는 당 혁신위원회가 차기 총선과 관계없는 전당대회 투표 규칙인 대의원제 폐지를 제언한 데 대해, 이 대표 구속 상황을 가정한 포석이라는 주장이 공개적으로 제기된 바 있다.

지난 총선까지도 ‘0선’이었던 이 대표가 차기 대표 선출에서 현역 의원 ‘입김’을 배제해 새 ‘친명 대표’를 세울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다만 김은경 위원장 노인 폄하 논란 등으로 인한 혁신위 좌초로 대의원제 폐지는 사실상 관철되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친명 중진인 안민석 의원도 YTN 라디오에서 "당연히 그런 (대의원) 특권은 폐지돼야 되는 것"이라면서도 "이것으로 치고받고 싸우다 보면 민주당 전통 지지자들이 투표장 안 나온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완전히 혁신 동력 (자체가) 상실돼 버린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이 대표를 공개 지지해온 박지원 전 국정원장 역시 CBS 라디오에서 "혁신안은 어제 의원총회에서 인준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물 건너 간 것"이라고 단언했다.

만일 혁신안 관철 없이 이 대표가 구속되고 새 대표 선출이 진행될 경우, 친명계로서는 ‘대의원제 리스크’를 지고 이낙연 전 대표와 진검승부 하는 시나리오까지 부담해야 한다.

전남 지사 출신인 이 전 대표는 이미 고향이자 민주당 본산인 호남에서 연일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그는 전날 광주 시의회를 찾아 "민주당이 바람직한 혁신 방향으로 가지 못하고 길을 잃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당 혁신안을 직격한 데 이어, 이날 순천에서도 이 대표 ‘사법리스크’ 등을 겪는 당 상황을 "어려운 지경"이라고 우려했다.

이 전 대표는 오는 18일에도 전남 신안 하의도에서 열리는 김대중 전 대통령 14주기 추모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 역시 차기 총선에 대비한 외연 확장 보다는 당내 세 결집이 우선이라는 판단으로 해석된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