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철근 누락’ 아파트 단지 관련 업체들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
LH는 철근 누락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된 전관 특혜 등 조직 문화를 일신하기 위해 외부 컨설팅을 통한 조직 점검에도 나선다.
8일 LH 등에 따르면 LH는 지난 4일 경찰청에 무량판 구조 부실 시공이 확인된 15개 아파트 단지의 설계·시공·감리 관련 업체와 관계자들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
애초 수사 대상에는 외부 업체 74곳 관계자들만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실제로는 LH 지역본부에서 감리 감독을 담당하는 직원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내부 직원의 경우 통상적으로 내부 감사 등의 절차를 먼저 거치지만 이번에는 이런 절차를 생략한 채 경찰에 수사를 요청한 것이다.
이는 철근 누락 사태로 LH가 국민적 불신을 받는 상황을 고려해 외부 기관에 바로 넘긴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건설 이권 카르텔 타파’를 고강도로 요구하는 상황도 고려된 것으로 관측된다.
LH 관계자는 "일반적으로는 내부 감사를 하지만 사안이 사안이니 만큼 우리가 자체적으로 조사하면 ‘봐주기식’이라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어 수사를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LH는 ‘도색공사를 한다’고 공지하고 입주민 몰래 보강공사를 진행해 논란이 된 파주사업단장을 대기발령 하는 등 신속하게 고강도 인사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LH는 외부 기관에 의뢰해 조직 진단을 추진할 방침이다.
한 LH 고위 관계자는 "조직 경영이 방만한 부분이 있고 조직이 통합된 지 14년이 지났는데도 (토공과 주공 출신 간) 자리 나눠 먹기가 여전하다. 이런 분위기 때문에 LH의 본질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어 제3의 기관에 의뢰해 조직 전반에 대한 진단을 받아보려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21년부터 인력이 급증하거나 경영평가 인사 지표에서 D등급 이하를 받은 기관에 대해 외부 컨설팅을 받도록 의무화했으나, 이런 평가와 무관하게 공공기관이 먼저 나서서 자체 진단을 추진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