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양성모 자본시장부 차장 |
며칠전 만난 증권업계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을 비롯, 한국거래소 등 금융 유관기관에서의 인력 유출에 대해 이같이 분석했다. ‘신의 직장‘이라는 타이틀이 꼬리표처럼 따라 붙으면서 과도한 옥죄기가 시작됐고, 결국엔 자본시장을 두루 아우르는 고급인력의 이탈과 새로운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문제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일례로 금감원은 인력 유출 대비 채용인원이 적어 그간 어려움을 많이 겪어왔다. 다만 올해 경력직 채용을 본격화 하면서 빈 공간을 채우는 중이다. 하지만 여전히 인력은 확대중인 자본시장 규모에 비해 부족하다는 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금감원 내 전체 81개 부서 중 50개 부서가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금감원의 정직원 평균 연봉은 2019년 1억517만원에서 2021년 1억673만원으로 제자리걸음이다. 낮은 처우와 더불어 공직자윤리법도 문제다. 금감원 직원은 5년 이상만 재직해도 이직 시 취업이 제한되는 공직자윤리법 영향을 받는다.
한국거래소 또한 인력 유출로 어려운 상태다. 최근 기업공개(IPO), 사모펀드(PEF) 산업이 발달하면서 전문성을 갖춘 인력으로 거래소 출신들을 대거 고용중에 있어서다. 평균 연봉도 찔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직원 평균연봉은 1억1508만원에서 1억1781만원으로 2.36% 상승하는데 그쳤다. 금융위원회와 맺은 경영협약 때문이다. 반면 일반 증권사인 메리츠증권의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은 2억원에 육박해 차이를 드러냈다.
증권업계도 역시 마찬가지다. 공모펀드를 운용하는 매니저들은 확실한 성과를 보장해주는 헤지펀드 등으로 자리를 옮기고 있다.
합당한 대우의 부재와 이에 따른 문제는 사회 여러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교권이라는 마땅히 받아야 할 대우가 박탈당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배달 어플리케이션 리뷰 테러와 소비자의 갑질로 자영업자들의 겪고 있는 고통도 판매자의 권리가 상실되면서 생긴 일이다.
억소리 나는 연봉자를 두둔하고자 하는 게 아니다. 마땅히 받아야 할 대우를 받는 문화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얘기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상필벌이 확실한 문화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래야 차별없는 세상이 만들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