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부실 털고 조직 쇄신…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연임’ 기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20 08:59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선거 12월 실시
2년여 임기 김인 회장, 연임 도전 주목

혁신안·부실 정리로 쇄신 드라이브
실적 부진·금융사고 부담…이사장 표심 관심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오는 12월 새마을금고중앙회 차기 회장 선거를 앞두고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의 연임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 회장은 취임 후 조직 안정과 부실채권 정리에 힘쓰며 새마을금고의 조직 쇄신과 건전성 개선에 주력해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규모 충당금이 쌓이며 새마을금고 실적이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한다.


2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2월 17일 제20대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선거가 진행된다. 김인 회장 임기가 내년 3월 14일 마무리됨에 따라 새 회장 선출에 나서는 것이다.


김 회장은 2023년 8월 박차훈 전 회장이 금품수수 혐의로 직무가 정지된 후 직무대행을 맡았고, 같은 해 12월 보궐선거에서 제19대 회장으로 당선됐다. 임기는 4년이지만, 김 회장은 박 전 회장의 잔여 임기 2년여만 부여받았다.


중앙회장 선거는 이전까지 350여명의 대의원이 선출하는 간선제였으나, 지난 보궐선거부터 전국 새마을금고 이사장이 직접 투표하는 직선제로 변경됐다. 이번 선거도 충남 천안 MG인재개발원에서 1276개 새마을금고 이사장이 직접 투표를 진행한다.


관심은 김 회장의 연임 여부다. 그가 연임에 성공하면 마지막 연임 회장이 된다. 행정안전부가 새마을금고 혁신안을 반영해 지난 1월 공포한 새마을금고법 개정안에 따라 1회 연임이 가능했던 중앙회장 임기는 4년 단임제로 바뀌었다. 중앙회장의 과도한 권한을 축소한다는 취지다. 다만 개정안 내용이 소급 적용되지 않아 김 회장은 연임이 가능하다.




2023년 7월 새마을금고의 대규모 인출 사태가 발생한 데 이어 전임 회장까지 불명예 퇴진을 하자 김 회장은 취임 후 조직 안정화에 힘써왔다. 김 회장이 직무대행을 맡던 같은 해 11월에는 새마을금고 쇄신을 위한 경영혁신안을 발표하며 경영대표이사 신설 등 지배구조 혁신 방안을 내놨고, 건전성과 금고의 감독 체계 강화, 금고 경영합리화 등을 강조하며 조직 변화를 꾀했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를 해소하고 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올해 상반기 매각한 부실채권 규모는 3조800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는 6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했다. 지난해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약 7조원으로, 새마을금고는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충당금 적립 규모를 늘리고 있다. 지난 7월에는 새마을금고 자산관리회사(MG AMCO)를 출범시켜 부실채권 정리 업무를 진행 중이며, 지난달에는 '통합재무정보시스템'을 오픈해 전국 금고의 재무 투명성을 강화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새마을금고중앙회.

부실채권 정리 노력 속에 실적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조7382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손실을 냈다. 충당금이 대거 늘어나 실적 악화로 이어진 것이다. 지난해 말 연체율이 전년 대비 1.74%포인트(p) 상승한 6.81%를 기록하며 연체율 안정화 속도도 더딘 모습을 보였다.


여기에 새마을금고에서 잇따른 금융사고가 발생하며 내부통제 부실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1~8월 새마을금고에서 36억500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국무회의에서 “새마을금고가 관리 감독 사각지대 같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김 회장이 지난 2년 동안 조직 쇄신에 총력을 기울여온 만큼, 이사장들이 경영 안정성 차원에서 김 회장에게 다시 한 번 신임을 보낼지가 관건이다. 다만 김경태 우리용인새마을금고 이사장, 유재춘 서울축산새마을금고 이사장, 최천만 전 부평새마을금고 이사장 등이 유력 출마 후보로 언급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앞선 보권설거에서는 9명의 후보가 출마해 뜨거운 선거전을 벌였다.


선관위는 오는 25일까지 선거일 등을 공고하고, 내달 4일부터 예비후보자 등록신청을 받는다. 예비후보자 제도는 선거운동 기간 이전에도 일정 범위 내에서 선거운동을 허용해 후보자 자신을 알릴 기회를 보장한다. 후보자 등록 기간은 12월 2~3일이며, 4일부터 13일간 공식 선거운동이 진행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