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면 패턴이 건강하지 못한 현대인 이미지(기사내용과 무관). |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고려대 의대 인간게놈연구소 신철 교수 연구팀은 경기도 안산에 거주하는 40~69세 3757명을 대상으로 18년 간 시행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결과를 내놨다.
전향적 코호트 연구는 시간 경과에 따른 특정 집단의 질병이나 사망 양상을 보는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연구 참여자들이 잠들기까지 걸린 시간을 ‘수면 잠복기’로 정의했다.
연구팀은 16∼30분을 기준으로 지난 한 달 간 1~2번 30분 이내 잠에 들지 못한 경우를 ‘간헐적 지연 그룹’으로 묶었다. 또 ‘일주일에 한 번 이상 60분 이내에 잠들지 못하거나 일주일에 세 번 이상 30분 이내에 잠들지 못한 경우는 ‘습관적 지연 그룹’으로 나눠 사망 위험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간헐적 지연 그룹과 습관적 지연 그룹의 사망 위험은 1.33배, 2.22배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신체적 특성, 생활 습관, 만성질환 등의 변수를 모두 보정한 결과다.
특히 습관적 지연 그룹의 경우 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같은 비교 조건에서 2.74배로 상승했다.
연구팀은 수면 잠복기 연장이 뇌에서 분비되는 수면 리듬 조절 생체호르몬인 멜라토닌 결핍을 불러 암 사망 위험을 높이는 잠재 요인이 됐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길어지는 수면 잠복기는 불면증, 우울증, 약물 복용 등의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로 인한 과각성 반응, 스트레스 반응의 만성화, 염증 반등 등이 사망 위험을 높이는 데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성인의 경우 통상 10~20분인 수면 잠복기가 습관적으로 늦어지면 수면 주기를 충분히 완료하지 못함으로써 만성적인 수면 장애는 물론 사망과 암 위험도 높일 수 있는 만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의학저널 랜싯이 발행하는 학술지 ‘건강 장수’(Lancet Healthy Longevity) 최신호에 발표됐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