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이레

gore@ekn.kr

여이레기자 기사모음




LG AI 연구원, ‘엑사원 2.0’ 첫 공개…차별화된 고객가치 창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19 14:00

고객이 원하는 용도·예산에 맞게 모델 크기부터 종류·사용 언어 맞춤형 설계
엑사원 3대 플랫폼 △유니버스 △디스커버리 △아틀리에 올해 출시
화학·바이오·제약·의료·금융·특허 등 특화 서비스 준비 중

[사진3] LG AI 토크 콘서트에서 배경훈 LG AI연구원장

▲19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열린 LG AI 토크 콘서트에서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엑사원 2.0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에너지경제신문 여이레 기자] "LG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중 언어 모델과 양방향 멀티모달 모델을 모두 상용화한 기업이며, 세상의 지식을 이해하고 발견하는 상위 1%의 전문가 AI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LG는 ‘다른 생성형 AI들과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컴퍼니로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19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열린 ‘LG AI 토크 콘서트 2023’에서 초거대 멀티모달 AI ‘엑사원 2.0’을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엑사원 2.0’은 고객이 원하는 용도나 예산에 맞게 모델의 크기부터 종류(언어·비전·멀티모달), 사용 언어까지 맞춤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LG AI연구원은 현존하는 전문 지식 데이터의 상당수가 영어로 되어 있는 점을 고려해 ‘엑사원 2.0’을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이해하고 답변할 수 있는 이중 언어 모델로 개발했다. 학습 데이터 양도 기존 모델 대비 4배 이상 늘려 성능을 높였다.

이날 LG AI연구원은 ‘전문가 AI’ 서비스 개발의 기반인 엑사원 3대 플랫폼인 △유니버스 △디스커버리 △아틀리에 등을 차례로 공개하고 올해 정식 서비스 출시를 예고했다.

LG, 초거대AI '엑사원 2.0' 소개하는 배경훈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엑사원 2.0’의 장점을 소개하고 있다.

‘엑사원 유니버스’는 다른 대화형 AI들과 달리 사전 학습한 데이터는 물론 각 도메인별 최신 전문 데이터까지 포함해 근거를 찾아내며 추론한 답변을 생성한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유니버스의 AI·머신러닝 분야 서비스를 이달 31일부터 LG 그룹 내 AI 연구자, 협력 중인 대학을 대상으로 시작하고 오는 9월에는 LG에서 AI를 연구하거나 공부하는 임직원 대상으로 정식 서비스를 진행할 계획이다. 화학·바이오·제약·의료·금융·특허 등 엑사원 유니버스의 각 전문 도메인별 특화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엑사원 디스커버리’는 세상에 없던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플랫폼으로, 가장 먼저 화학 및 바이오 분야의 신소재·신물질·신약 관련 탐색에 적용하고 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디스커버리에 논문과 특허 등 전문 문헌의 텍스트뿐만 아니라 분자 구조, 수식, 차트, 테이블, 이미지 등 비(非)텍스트 정보까지 AI가 읽고 학습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심층 문서 이해(DDU) 기술을 적용했다.

LG AI연구원은 올해 4분기에 그룹 내 화학 및 바이오 분야 연구진들을 대상으로 엑사원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신소재·신물질·신약 관련 연구개발에 혁신을 불러올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엑사원 아틀리에’는 인간에게 창의적 영감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플랫폼이다. 아틀리에는 저작권이 확보된 이미지-텍스트가 짝을 이룬 페어 데이터 3억5000만장을 학습한 엑사원 2.0을 기반으로 이미지 생성과 이미지 이해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올해 3분기에 그룹 내외부의 전문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아틀리에 서비스를 시작한다.

배경훈 원장은 "엑사원을 실제 현장에서 의미 있게 적용해 성공사례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B2B에 이어 B2C 영역도 접근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배 원장은 AI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은 여론에 대해 "가짜 뉴스 등 부정적인 사례들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할 것"이라면서도 "필요한 부분에 규제를 만들고 생성형 AI가 선순환 방향으로 잘 발전할 수 있게 국가, 기업의 공감대가 형성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ore@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