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여력 부족한 비은행권에 상생금융 강요 안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13 16:20

"가계대출 최대치지만 신용대출은 감소세...관리 가능"



"새마을금고 감독권한 이관, 정부에서 여러 논의 있을 것"

이복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연합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3일 "상품 특성상 상생금융을 발표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했던 은행권과 달리 캐피탈사, 보험, 증권 등 비은행권은 건전성이나 운용 여력 측면에서 쉽지 않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며 "여력이 없거나 포트폴리오상 (상생금융을 내놓는 것이) 적절치 않은 회사에 상생금융을 강요하거나 요구하는 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달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화생명 본사에서 열린 ‘포용적 금융, 따뜻한 동행을 위한 상생친구 협약식’ 행사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비은행권의 상생금융 방안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올해 2월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BNK부산은행, DGB대구은행, 광주은행 등 각 은행을 방문했다. 지난달 말에는 우리카드를 찾았다. 금융사들은 이 원장이 방문할 때마다 가계대출 금리 인하를 포함한 상생금융 패키지를 내놨다. 이날 이 원장과 만난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 역시 2030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2030 목돈마련 디딤돌 저축보험’을 내놓겠다고 발표했다.

이 원장은 "금리 인상으로 가계와 기업들의 부담이 거진 상황에서 이들의 고통이 한쪽에 쏠리지 않도록 조정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고, 그런 차원에서 금융권과 함께 여러 상생금융 노력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늘 한화생명의 노력은 그런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며 "소비자 저변을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상생금융 노력은 시장 원리에 반하지 않는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비은행권이 상생금융을 발표하는 데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알고 있다고 거듭 전제하면서도 "회사가 수익적으로, 마케팅 측면에서 여러가지를 고려할 때 상생금융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그 자리에 제가 오는 게 필요하다고 요청하면 저는 언제든지 함께할 준비가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편으로 보면 지난주 현대카드, 현대커머셜이 상생금융 지원 방안을 내놨는데, 이 자리에 저를 부르건 부르지 않건 저는 회사 판단에 맡기는 것이고, 이런 노력을 해준 금융사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6월 말 기준 1062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어느 정도 증가했지만, 비은행 주담대 등 담보대출이나 은행 신용대출은 여전히 감소세에 있다"며 "가계대출 증가분 구성을 보면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 바꾸면서 발생하는 주담대 증가분과 생활안정자금 등이 포함돼 있어 과도하게 물가를 자극하거나 소비를 촉진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고 짚었다.

이 원장은 "(금감원) 예측 결과 연내에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보다 가계대출 증가율이 훨씬 낮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변동금리 위주의 악성 가계대출 비중이 줄어들고 있어 결론적으로 가계대출은 관리 가능한 수준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새마을금고 감독 권한을 현재 행정안전부에서 금융위원회로 이관해야 한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정부에서 여러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감독원 역할은 그 논의에 토대가 될 만한 재무적, 법률적 상황에 대해 정확히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거나 그 근거가 되는 자료들,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현재 행안부와 금융위 요청에 따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역할을 하고 있고, 필요하다면 검토 자료들을 국회에 보고드릴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ys106@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