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월 대비 줄어든 가운데, 제2금융권으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시중은행.
지난달 5대 은행 가계대출이 3조원대 증가했다. 지난 6·27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증가 폭이 매달 감소하고 있다.
반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확대 조짐을 보이며 2금융권으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조만간 추가 규제를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일 각 은행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8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2조8985억원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3조9251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은 지난 6월 한 달간 6조7536억원이 늘어나며 10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인 후 7월 4조1386억원, 8월 3조9251억원으로 증가 폭이 둔화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내용 등을 담은 6·27 부동산 대책 효과가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세부 대출별로 보면 주담대 증가 폭이 축소되고 있다. 주담대 잔액은 607조6714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7012억원 늘었다. 주담대 증가 폭은 지난 6월 5조7634억원에서 7월 4조5452억원으로 줄었고, 8월에도 둔화세가 이어졌다. 다만 주담대가 늘어나기 시작한 지난 4월(3조7495억원 증가)과 비슷한 수준이라 안정화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
개인신용대출은 지난 7월 감소에서 지난달 증가로 전환했다. 신용대출 잔액은 104조790억원으로 전월 대비 1103억원 늘었다. 지난 6월 한 달 동안 1조876억원 급증한 후 지난 7월 4334억원 감소로 전환했는데, 8월 다시 소폭 늘었다. 휴가와 이사철 등의 계절적 요인이 맞물렸다는 분석이다.
은행권과 달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확대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전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약 4조2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7월 2조2000억원 늘어나며 지난 3월 후 최소치를 보였다가 지난달 다시 증가 폭이 확대됐다.
특히 2금융권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 7월 6000억원 감소에서 지난달 약 6000억원 증가로 전환됐다. 새마을금고에서 집단대출을 확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선제적인 조치는 취한 상태지만, 서민과 실입주자를 위한 집단대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금융권 가계대출이 불안한 흐름을 보이자 금융당국이 추가 규제를 내놓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규제지역의 담보인정비율(LTV) 강화,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 전세대출 규제 강화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2일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해당 질의가 나올 전망이다. 이 후보자는 전날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 서면 답변에서 “6·27 대책은 단기적으로 효과적"이라면서도 “대출 규제만으로 정책 효과가 제한될 수 있다는 의견도 상당수"라고 했다. 이어 “주택시장과 가계대출 동향 등을 살펴 필요시 준비된 방안을 즉각 시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