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지난 5월 제조 중소기업 258개사를 대상으로 ‘제조 중소기업 인력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IBK고객센터를 통해 지난 5월 16일부터 19일까지 제조 중소기업 258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제조 중소기업의 약 65%가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감소가 빠른 비수도권의 경우는 70%가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인력난에 따른 대응방안으로는 중소기업의 45%가 ‘외국인 인력 활용 또는 설비 자동화’로 인력난에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18%에 달해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인력난이 해소되지 않는 근본 원인으로는 임금 및 복지수준 개선 등 자구 노력 미흡을 꼽은 응답자가 46%에 달했다. 중소기업에 대한 사회적 편견(27.4%), 실효성 없는 정부 정책(17.2%) 등도 뒤를 이었다.
![]() |
지역별 특성으로는 ‘비수도권 제조 중소기업’이 주로 외국인 인력을 활용해 인력난에 대응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 비수도권에서는 50% 이상이 ‘외국인 인력 활용’으로 대응한다고 답했는데, 해당 응답을 꼽은 수도권 제조 중소기업은 34%에 그쳤다.
또 비수도권에서 제조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해소되지 않는 근본원인으로 ‘실효성 없는 정부 정책’을 꼽은 응답자 비율이 22.4%에 달했다. 지방 소도시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더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이 필요하고, 특히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기업은행은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구직자와 중소기업을 연결해 주는 ‘i-one Job’ 플랫폼,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IBK행복나눔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중소기업의 고용안정을 위해 재직기간에 따라 대출금리는 낮추고, 예금금리는 올려주는 등의 ‘중기 근로자 우대 프로그램’도 시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