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5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기획] 시멘트산업, 탄소중립 ‘게임체인저’로 부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29 15:34

원가부담 상승, 환경규제 의한 설비투자 등 부담



외부 악조건에 건설업계·소각로업계와도 지속 마찰



‘탄소중립’ 위한 저탄소형 산업구조로 변화 모색

2023062901001546000075021

▲지난해 국내 시멘트업계는 탄소중립을 위해 환경분야 등 설비투자에 5400억원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설비 개조 및 증설 중인 쌍용C&E 동해공장. 한국시멘트협회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최근 시멘트업계가 환경규제 강화로 인해 시설투자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 한 해 수익을 고스란히 설비투자에 쏟아야 하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시멘트 단가 인상으로 건설업계와의 갈등이 심화되는 등 복합적인 위기를 타개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30일 ‘제2회 시멘트의 날’을 맞이해 시멘트업계의 현안과 해결책을 알아본다. <편집자 주>


◇ ‘환경 규제 강화’→‘경영 악화’로 악순환

29일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주요 7개 시멘트사는 지난 2021년부터 2022년 사이 국제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경영실적이 악화되고 있다. 제조원가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이 2020년 평균 60달러에서 최대 7.6배 오른 463달러까지 급등하기도 했고, 최근에는 유연탄 가격이 그나마 하락했으나 불안한 국제경제 상황에서 재상승 우려가 상존하는 모양새다.

전기요금도 문제다. 시멘트업체의 두 번째 높은 비중인 전력요금이 지난해 7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kwh당 21.6원이 인상됐다. 올해 1분기에는 13.1원, 2분기에는 8.0원이 또 인상되기도 했다.

이는 곧 시멘트업계 주요 7개사의 영업이익을 크게 급감시킬 우려가 있다. 주요 7개사인 쌍용C&E,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한라시멘트, 한일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아세아시멘트는 지난해 상반기 판매량이 전년인 2021년 대비 0.6% 증가했음에도 같은 시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대비 11.9%, 20.1%나 떨어진 바 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업계가 지난해 두 차례 가격인상을 했는데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가부담이 늘어나면서 순이익이 급락했다"며 "여기에 더해 온실가스 감축 등 탄소중립에 필요한 환경투자 설비개조와 질소산화물(NOx) 배출기준 강화 등 환경규제가 극심해지며 시설투자에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실정이다"고 호소했다.

설비투자 증액도 문제라는 입장이다. 2019년 이후 5년간 설비투자에 총 2조315억원을 투입했는데, 향후 3~4년간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이로인한 시멘트업계 경영 위기는 투자 여력이 없는 지방 업체 고사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최근에는 지난 13일 고려시멘트가 전남 장성에 위치한 생산공장의 라인 가동 전면 중단과 공장폐쇄를 결정하기도 했다. 결국 환경규제 강화와 수년간 누적된 경영악화가 주요 원인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더해 안전운임제 시행으로 인한 육상물류비 40% 증가, 미세먼지와 관련이 있는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선택적 환원촉매 설비(SCR) 설치 부담감, 순환자원 재활용을 위한 폐기물 소각 처리과정에서의 소각로 업계와의 마찰 등으로 업을 이끌어 나가기 힘들다는 것이 전반적 시멘트업계 고충이다.


◇ 저탄소형 산업구조 전환 나서

그럼에도 시멘트업계는 ‘2050 탄소중립 선언’에 따라 대규모 설비투자 및 친환경 기술개발을 통해 저탄소형 산업으로의 산업구조 전환에 동참하고 있는 모습이다.

여기에는 △비탄산염 개발과 혼합재 확대 등 원료대체 △순환자원 연료 증대 등 연료대체 △폐열발전 확대 및 친환경열원 개발 등 공정효율 개선 △광물탄산화 및 경화반응시멘트 기술개발 등을 주요 탄소 감축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폐기물을 매립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발생하는데 화석연료인 유연탄 사용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대체함으로써 국가 전체 온실가스 총량 저감에 기여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더해 시멘트 원료 중 화학성분이 일치하는 일부를 석탄재, 철슬래그, 폐주물사 등의 순환자원으로 대체해 재활용 중이다. 또한 소성공정에서 유연탄 일부를, 열량이 높아 효과적인 에너지원으로 평가받는 폐타이어, 폐합성수지(원유 기반 폐기물) 등으로 유연탄을 대체하는 시도도 하고 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경북 의성군에 방치된 불법폐기물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총 20만8000t의 폐기물 중 약 46%인 9만5000t을 중간 처리과정을 거쳐 시멘트 보조연료로 재활용해서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시멘트업계는 의성 ‘쓰레기산’ 환경문제 해결의 공로를 자평하기도 했다.

kjh12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