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지역난방공사 용인지사의 전경. 사진= 이원희 기자 |
사업권 확보를 위한 한국지역난방공사(한난)와 민간사업자간 눈치싸움이 치열한 것으로 분석됐다.
택지지구 열공급 사업은 보통 인근에 위치한 열공급사업자가 유리하다고 알려졌다. 다만 인근에 열공급사업자가 여러 곳이 있다면 경쟁 구도가 생기는 구조다. 혹은 신규 열공급 시설이 필요하다면 완전히 새로운 사업자가 등장할 수도 있다.
25일 집단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추가 지정한 집단에너지 신규공급 대상지역 5곳 총 6만1000가구에 열을 공급하는 사업을 두고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총 6만1000가구에 열을 공급하는 사업의 매출은 해마다 약 329억원으로 추산된다.
지난 2021년 기준 가구당 평균 열 사용량 6609메가칼로리(Mcal)에 한난에서 정한 열요금 1Mcal당 102.65원을 적용할 때 그렇다는 것이다.
민간사업자의 경우 한난에서 정한 열요금 보다 최대 10% 더 비싸게 적용 가능해 민간사업자는 이보다 더 많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집단에너지 신규 열공급 대상지역 5곳은 경기의 안산 신길2(6000가구)·안산 장상(1만4000가구), 용인 기흥 플랫폼시티(1만가구), 수원 ·화성 효행(1만가구)과 충남 아산 탕정2(2만1000가구) 등이다.
이중 용인 기흥 플랫폼 시티와 수원·화성 효행, 충남 아산 탕정2 총 3곳이 업계에서 주요 이슈로 떠올랐다.
수원·화성 효행 인근에는 민간사업자 휴세스와 공공사업자 한난의 열공급시설이 위치했다. 이 두 사업자가 수원·화성 효행의 열공급 사업권 확보를 놓고 경쟁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한난이 용인 기흥 플랫폼 시티에 열공급 사업권을 가져가면 수원·화성 효행의 열공급 사업권 진출은 어렵게 될 것으로 분석됐다.
용인 기흥 플랫폼 시티 열공급 사업권의 경우 한난 단독으로 확보하는 게 유력하다고 알려졌다. 용인 기흥 플랫폼 시티 인근에 한난 용인지사가 위치해있다.
한국에너지공단 ‘2022 집단에너지사업 편람’(2021년 기준)에 따르면 용인 기흥 플랫폼 시티 사업권을 한난에서 가져가면 한난의 전체 지역난방 공급 세대수가 174만6600 가구에 이른다. 이는 전체 열공급 사업자 지역난방 공급 세대수 342만7346 가구의 약 50.96%에 달한다.
문제는 한난의 신규사업 진출제한이 산업부 지침으로 전체 지역난방 공급 세대수의 51%를 넘을 수 없게 돼 있다. 한난이 용인 기흥 플랫폼 시티 사업권을 가져가고 수원·화성 효행의 열공급 사업권의 1만 가구까지 가져가면 전체 지역난방 공급 세대수를 51%를 넘겨 지침을 어길 수밖에 없다.
한난 관계자는 "2010년 당시 지식경제부(현 산업부)가 제정한 ‘신규사업참여제한지침’이라는 게 있다"며 "여기에 따르면 (한난 지역난방 공급 세대수는) 전체 지역난방 공급 세대수의 51%를 넘을 수 없게 돼 있다. 현재 집단에너지 신규공급 대상지역의 열공급 사업 참여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산업부 지침에 이행 의무가 있는 건 아니지만 산업부 산하기관인 한난 입장에서는 산업부 지침을 따를 수밖에 없을 것으로 관측됐다.
충남 아산 탕정2 사업의 경우 업계에서는 신규 열공급 시설을 설치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열공급 시설로는 추가 열공급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에 따른 것이다.
충남 아산 탕정2 사업 인근에는 집단에너지 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충남지역 도시가스공급업체 JB(중부도시가스)가 열공급 사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충남 아산 탕정2 사업의 신규 열공급 시설 설치의 경우 완전히 새로운 제3 사업자 등장 가능성도 제기됐다.
한 집단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결정된 남양주 왕숙지구 열공급 사업 때처럼 신규 열공급 시설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인근 열공급사업자가 아닌 신규 사업자가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안산 신길2와 안산 장상의 열공급사업권은 인근 열공급사업자인 안산도시개발의 참여가 유력하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