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금통위원들 "물가·가계부채 불안…필요하면 추가 금리 인상으로 대응"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13 22:55
통화정책방향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은 지난달 25일 만장 일치로 기준금리를 3회 연속 동결하면서도 ‘물가, 가계부채 등이 여전히 불안해 상당 기간 통화 긴축 기조가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은이 13일 공개한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당시 한 위원은 회의에서 "대부분 국가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지난 것으로 보이나 근원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높다"며 "일부 해외은행 파산에 따른 금융불안 등 대외 여건 불확실성은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위원도 "하반기 물가 불안 요인이 상존하기 때문에 물가 안정 기조가 확실해질 때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하고 가계부채 관리와 역대 최대 수준인 한미 기준금리 차이가 금융시장 불안 요인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물가가 예상보다 경직적 모습을 보이며 상방 리스크가 확대됐으나, 성장 측면에서는 정보기술(IT) 경기, 중국경제, 미국 금융상황 등에 불확실성이 상당해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언급도 있었다. 한 위원은 "물가가 2%대로 안정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는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를 지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향후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추가적인 인상 가능성도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위원은 "특히 최근 근원물가 하락세가 더딘 상황에서 정책 기조에 비해 크게 완화된 금융 상황으로 인해 물가 흐름이 당초 전망 경로에서 이탈할 가능성은 없는지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며 "물가 목표로의 수렴이 크게 지연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 추가 금리 인상 등으로 적극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