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중국 경기회복 불안…4월 소매판매·산업생산 모두 예상치 하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5.16 14:30
중국 경제, 소비자

▲(사진=EPA/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중국의 지난달 소비 및 산업 활동이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6일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4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이 전년 동기대비 각각 18.4%, 5.6%씩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소매판매 증가폭은 로이터통신의 예상치인 21.0%에 비해 낮았고, 산업생산도 로이터가 애널리스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내놓은 전망치인 10.9%에 크게 못 미쳤다.

4월 중국 소매판매는 3조 4910억 위안(약 669조원)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18.4%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내수 경기의 가늠자다.

지난 3월 한 달간 소매판매가 10.6% 늘어난 데 이어 두 달 연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1월부터 4월까지의 전체 소매판매는 14조 9833억 위안(약 2872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늘어났다.

이를 두고 중국 당국이 이른바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이후 소비 심리가 살아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소비가 큰 폭으로 회복되기엔 아직 멀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가통계국은 "국제 환경은 여전히 복잡하고 암울한데 국내 수요는 여전히 부족하다"며 "경제 회복의 내적 동력이 아직 강하지 않다"고 짚었다.

4월의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대비 5.6% 늘어났다. 3월(3.9%)보다는 1.7%포인트 상승했지만 시장 전망치(10.9%)에는 미치지 못했다.

1∼4월 4개월간의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대비 3.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의 산업생산은 공장·광산·공공시설 등의 총생산량을 측정한 것으로 제조업 동향을 반영하며 고용과 평균 소득 등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농촌을 뺀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 자본 투자에 대한 변화를 보여주는 1∼4월 고정자산투자는 14조 7482억 위안(약 2827조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4.7% 늘었다.

1∼3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에 비하면 0.4%포인트 낮아졌지만, 고급기술 분야 투자가 14.7% 증가하는 등 첨단기술 산업이 투자를 이끈 것으로 분석됐다.

4월의 도시실업률은 5.2%로 전달보다 0.1%포인트 내렸다. 다만 16∼24세 청년실업률은 20.4%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아울러 4월 수출입 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8.9% 증가해 위드 코로나 이후 무역이 회복세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밖에 4월 소비자물가(CPI)는 전년 동기대비 0.1% 상승했지만, 전월에 비하면 0.1% 하락해 안정세를 보였다.

이와 관련, 테본 펀드 매니지먼트는 "올해 중국의 회복 강도는 생각했던 것보다 약할 것 같다"며 중국인민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올 하반기부터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소시에테 제네랄의 미셸 람 이코노미스트 역시 "소비는 견고했지만 청년실업률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치솟고 있어 회복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