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날을 하루 앞둔 4일 서울 광진구 어린이대공원을 찾은 학생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연합뉴스 |
8일 한국지방세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9~2021년 226개 기초자치단체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는 것보다 지역 인프라와 서비스 확대가 출산율 높이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까지 떨어졌다. 이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고 있다.
지방세연구원은 "동일한 예산액 지출일 경우 인프라 예산 증가가 출산율 제고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분할지급 방식의 출산장려금이 일시급 지급 방식보다 출산율 제고 효과가 낮으며 1인당 250만원 미만의 소액 출산장려금으로는 출산율 반등을 꾀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어 "출산장려금과 같은 현금지원 정책보다 육아 비용을 직접 줄여주는 인프라 확대 정책이 출산율 제고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육아 인프라 확대는 개인이 지역에 거주한 기간만큼 그 지역의 시설과 서비스 혜택을 누리게 되고 지자체 입장에서는 지역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지적했다.
현금지원 정책은 개인이 현금을 받고 언제든 그 지역을 벗어나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무분별한 현금지원 정책은 지자체 간의 과도한 경쟁만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돌봄센터, 어린이회관, 공동육아 나눔터, 키즈카페, 장난감 은행, 공동 육아카페 등의 서비스·인프라 정책은 출산 당시의 단기적 현금지원정책보다 장기적으로 육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하지만 기초 지자체의 경우 지원 방법에서 서비스·인프라 예산액 비중은 지난 2021년 기준 13.4%에 불과했으며 현금이 72.7%에 달했다.
보고서는 "현재의 서비스·인프라 확대 정책이 주로 미취학 아동 중심으로 실시되는데 학령기에 대도시로 전출하는 가장 큰 이유가 교육 문제인 만큼 미취학 아동 중심의 육아 인프라 정책을 학령기까지 확장해 다양한 사업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독일의 아동수당과 같이 아동이 성년이 될 때까지 국가 차원에서 장기적인 현금지원으로 육아비용을 낮추고 지자체가 특색 있는 지역 맞춤형 사업을 하면 출산율 제고에 도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