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먹거리 가격 또 꿈틀…하락세 물가 부추기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3.27 17:21

외식·가공식품 가격 급등에 물가 자극 우려



정부 "자제" 요청에도 업계 인상 가능성 여전

대형마트

▲27일 서울 한 대형마트의 빵 매대.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정부 압박에 잠잠해지는가 싶던 먹거리 가격이 들썩이며 진정기미를 보이던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27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다음 달 3일부터 제품 가격을 최대 3000원 올린다. 2021년 11월 이후 1년여 만에 가격 인상으로 인상률만 18.8%에 이른다. 가격 조정에 따라 대표 메뉴인 간장 오리지날은 1만6000원에서 1만9000원, 허니콤보는 2만원에서 2만3000원이 된다.

햄버거업계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이달 10일부터 버거킹은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5% 올렸으며, 지난달 맥도날드와 롯데리아는 일부 메뉴 가격을 평균 5.4%, 5.1% 각각 인상했다.

외식비뿐 아니라 두유·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 가격도 줄줄이 오른다. 남양유업은 다음 달부터 두유 7종의 출고가를 평균 4.7% 올릴 예정이며, 롯데제과도 오는 4월부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일부 빙과류 제품 가격을 최대 33.3% 인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술값도 크게 오른다. 오비맥주는 이달 말부터 수입·유통하는 버드와이저와 스텔라아르투아, 호가든, 코로나 등 맥주 출고가를 평균 9.1% 인상한다. 하이트진로 역시 지난달 음식점·식당 등에서 판매하는 수입주류 출고가를 평균 15.9% 올렸다. 하이네켄코리아 역시 업장용 일부 제품값을 평균 9.5% 인상했다.

일각에서는 줄인상 여파로 올 들어 안정세로 접어든 물가를 자극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외식·가공식품 등 먹거리 가격의 경우 특히 공공요금과 함께 전체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 요인이라는 업계 설명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물가지수는 115.45로 전년 동월보다 7.5% 올랐다.

지난해 9월 9.0%로 1992년 7월(9.0%) 이래 30년 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이후 하락세로 돌아선 상황이다. 지난해 10월 8.9%, 11월 8.6%, 12월 8.2%에 이어 올 들어 1월 7.7%, 2월 7.5% 등으로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여기에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지난달 4.8%로 지난해 4월(4.8%) 이후 10개월 만에 4%대로 내려와 물가 둔화 흐름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높은 상황이었다.

정부는 식품업체에 원가 절감 등 가격 인상 요인을 흡수해 줄 것을 계속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 요청을 감안하더라도 원자재값·인건비 등 경영 부담이 누적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맞춰 일단 가격 인상 요인이 있음에도 자제하고 있지만 올해 1분기 실적이 꽤 좋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inaho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