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이번에는 '사외이사' 겨냥…금융사 지배구조 변화 예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3 16:10

4대 금융 34명 중 28명 임기 만료

최장 임기 전 교체 가능성도 제기



이사회 투명성 강조하는 금감원

지배구조 선진화 추진 속도

2023021301000684200030131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금융당국이 금융회사 수장들의 대거 교체 후 이번에는 사외이사 변화를 압박하는 모습이다. 금융당국이 금융사 지배구조 선진화 추진 작업에 본격 시동을 건 만큼 금융사의 이사회 변화도 예상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등 4대 금융지주사의 사외이사 총 34명 중 28명의 임기가 오는 3월 말 끝난다. 전체의 82% 수준이다.

KB금융에서는 7명의 사외이사 중 6명이, 신한금융에서는 12명 중 10명의 사외이사 임기가 끝난다. 하나금융은 사외이사 8명 전원의 임기가 끝나고, 우리금융은 7명 중 4명의 사외이사 임기가 마무리된다.

보통 사외이사들은 각 사 지배구조 내부규범에서 정한 약 5∼6년의 최장 임기까지 지낸 후 자리에서 물러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번에는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30일 금융사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를 강조한 데다 금융당국도 금융사들의 지배구조를 문제 삼으며 경영진을 견제하는 이사회의 역할 강화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6일 2023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은행 지배구조가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배구조 구축 현황, 이사회 운영, 경영진 성과보수 체계의 적정성 등을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사 경영진의 책임 경영을 강화해 내부통제 역량을 높인다는 취지다.

특히 이사회가 제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고 금융당국은 인식하고 있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금융사 CEO(최고경영자)의 셀프연임을 지적하고, 그 배경에 거수기 역할을 하고 있는 이사회가 있다고 비판해 왔다. 또 은행권에서 발생하는 각종 회령·배임 사태와 불투명한 CEO 선임 과정 등의 이슈가 발생하는 것에 이사회도 책임이 있다고 봤다.

금융당국 시선이 사외이사로 향하는 것은 금융사의 CEO의 대거 교체 이후 예견된 전개란 분석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금융사 CEO들의 연임 가도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고, 지난해 연말부터 금융지주 회장의 연임 사례는 한 차례도 발생하지 않았다. 여기에 CEO 측근으로 이뤄진 사외이사들이 CEO의 셀프연임을 공고화해 왔다고 당국이 판단하고 있는 만큼 사외이사들의 변화 요구가 이어질 것이란 예상이다.

금융당국은 현재 관련 법 개정도 추진 중이다.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은 지난해 8월 내부통제 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올해 1분기 입법예고를 목표로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개정안은 내부 통제에 대한 임원들의 책임을 강화하고, 임원선임 절차의 투명성을 높이는 내용 등이 포함된다. 금융위 실무진들은 16일부터 해외 금융사 지배구조와 내부통제 체계 등을 살피러 출장길에 오를 예정이다.

이같은 금융당국의 움직임을 두고 CEO 인선과 사외이사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는 ‘관치’란 비판이 나오는 한편, 일각에서는 사외이사들의 역할 재정립을 위한 움직임이란 시각도 있다. 그동안 사외이사들의 거수기 역할을 해 온 것이 사실인 만큼 지배구조 개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단 새로운 사외이사들로 친정권 인사 등이 배치될 경우 관치를 비난하는 목소리는 더욱 커질 수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사외이사 구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요구는 있어 왔다"면서도 "금융사 CEO 인선을 두고 관치 논란이 나오는 상황에서 사외이사 변화에 대한 요구가 나오면서 좋은 시선으로만 볼 수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