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스마트폰 속 추억부터 계정까지”...급성장하는 ‘디지털 유산시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06 17:48

글로벌 디지털 유산시장 규모
2034년까지 15.6%씩 성장

韓, 디지털 자산 법적 정의 부재
美, 디지털재산권 법적체계 확립

“한국도 디지털 유산 니즈 상당”
“금융사 등 시장 참여 검토 필요”

핸드폰

▲글로벌 디지털 유산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130억7000만 달러 수준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가 보편화되면서 디지털 유산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다. 프랑스, 미국 등 해외의 경우 법적으로 디지털 자산을 정의하고, 디지털 자산으로 정의하는 범위도 넓은 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디지털 유산에 대한 인지도는 낮지만, 디지털 유산 상속에 대한 니즈는 상당한 만큼 금융사를 비롯한 관련 기업들이 디지털 유산 시장 참여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 유산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130억7000만 달러 수준이다. 2034년까지 연평균 15.6%씩 성장해 557억5000만 달러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이는 사후 디지털 자산의 보전, 온라인 추모 서비스, 금전/비금전 디지털 자산관리 등 디지털 유산을 사후에도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는 니즈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 기준으로 일반 개인이 소유한 자산 중 약 70%가 디지털 자산에 해당한다.


하나금융연구소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 유산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130억7000만 달러 수준이다. 2034년까지 연평균 15.6%씩 성장해 557억5000만 달러까지 확대될 전망이다.(자료=하나금융연구소)

국내에서 디지털 유산은 일반적으로 고인이 인터넷, 휴대전화 등에 남긴 디지털 정보를 뜻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 유산을 '사망한 이용자가 인터넷 공간에 남긴 부호, 문자, 음성, 음향, 화상, 동영상 등 시각과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 정의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법적 정의는 부재하다.


이와 달리 해외는 국내보다 먼저 논의를 시작하면서 법적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의도 존재한다. 프랑스는 '통화금융법전'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토큰뿐만 아니라 '가치를 디지털로 표현한 모든 것, 즉 순수한 디지털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넘어 그 자체로 가치를 나타내는 것'도 포함한다고 규정했다. 미국은 디지털 자산을 개인이 재산상 권리 또는 이익을 가진 전자 기록물로 정의했다. 현재 존재하는 것뿐만 아니라 발명되지 않은 것도 포함하며, 어떤 종류로든 전자적으로 저장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해외에서는 디지털 재산권에 대한 법적 체계가 점진적으로 확립되면서 디지털 유산 서비스 범위 등도 정립되는 추세다. 올해 4월 뉴욕주가 플랫폼 서비스 계약 약관과 관계없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및 소유권을 양도할 권리를 명시적으로 인정하는 '디지털 자산 법안'을 제정한 것이 대표적이다.


하나금융

▲GoodTrust는 디지털 자산이 남겨지는 글로벌 기업에 대한 관리 방안을 미리 지정하면 이를 사이트에서 대행한다. (자료=하나금융연구소)

디지털 유산 서비스 업체들의 행보도 흥미롭다. MyWishes는 디지털 유산, 유언장 작성, 장례 계획 등을 온라인으로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GoodTrust는 디지털 자산이 남겨지는 글로벌 기업에 대한 관리 방안을 미리 지정하면 이를 사이트에서 대행한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 구독 중지, 구글 포토 보관 등의 행위를 대행하고, 개인기기 접근 방법에 대한 기록 등도 금고에 저장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디지털 유산에 대한 인식은 낮지만, 이를 가족이 상속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답해 디지털 유산 상속에 대한 니즈가 상당하다. 다만 국내에서는 디지털 유산에 대한 법적 기반이 없고, 사용자별로 제공되는 서비스 수준도 유산 관리자 지정, 백업 서비스 등에 불과하다. 이령화 하나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향후 국내도 유산 관리자 지정을 중심으로 디지털 유산 관련 법적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대응해 금융사, 관련 서비스 업체도 디지털 유산 시장 참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디지털 자산이 축적되면서 저장 용량을 추가 구매하려는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며 “이미 보안 환경을 갖춘 민간 금융사가 해당 시장에 참여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