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카오뱅크(위)와 케이뱅크. 에너지경제신문DB |
12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뱅크의 연체율은 0.49%로 1년 전보다 0.27%포인트(p) 상승했다.
카카오뱅크의 연체율은 지난 2021년 말 0.22%에서 지난해 1분기 말 0.26%, 2분기 말 0.33%, 3분기 말에는 0.36%로 오르며 꾸준한 상승 곡선을 그렸다.
특히 4분기에는 전 분기보다 연체율이 0.13%포인트 오르며 상승 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지난해 말 0.36%로, 1년 전(0.22%)보다 0.14%포인트 상승했다.
케이뱅크의 경우 아직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이미 지난해 3분기까지 연체율이 오름세를 보였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케이뱅크의 연체율은 0.67%로, 2021년 말보다 0.26%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도 0.22%포인트 오른 0.76%로 나타났다.
인터넷 은행들은 지난해 금융당국에 제출한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치 달성에 집중했는데, 고금리 상황에서 중저신용자들의 상환 여력이 악화하자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은 2021년 5월 인터넷 은행들에 중금리 대출 보급 활성화를 주문하면서,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향후 신사업 인허가 시 고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지난해 말까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인 25%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으나, 올해 목표치는 카카오뱅크가 30%, 케이뱅크가 32%로 더 높아지는 만큼 건전성 관리 필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yhn77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