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금융지주, 주주환원율 30%로 끌어올렸다...'50% 목표'도 제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09 16:07

KB금융, 3000억 자사주 소각까지 환원율 33%

하나금융, 환원율 목표 50% 설정 공식화



12~13.5% 초과분 주주환원 적극 활용 방침

얼라인 "환영…3월 주주제안 안한다"

2023020901000529200022971

▲신한금융지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금융지주사들이 지난해 총주주환원율을 30%대까지 끌어올렸다. 앞서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이 국내 금융지주사들에 당기순이익의 최소 50%를 주주환원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내면서 주주환원 확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진 데 응답했다는 분석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금융지주사들은 이날까지 진행한 지난해 4분기 경영실적 발표 IR(기업설명회)에서 주주환원 확대 방침을 밝혔다.

지난 2일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한 BNK금융지주는 배당성향을 25%로 높이고 16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포함해 총주주환원율을 27%까지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궁극적으로 총주주환원율을 50%까지 반영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어 지난 7일 실적발표를 진행한 KB금융지주는 총주주환원율을 33%로 높이기로 했다. 현금배당성향을 26%로 결정하고,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KB금융은 지난해 1500억원씩 두 번에 걸쳐 총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했는데 이번에 3000억원 규모를 또다시 추진하는 것이다.

신한금융지주도 총주주환원율을 30%까지 끌어올렸다. 보통주 배당성향은 22.8%, 우선주 포함 배당성향은 23.5%로 결정하고,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소각을 실시하기로 했다.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분을 전년도에 반영하면 총주주환원율은 33.2%까지 높아진다는 것이 신한금융의 설명이다.

하나금융지주는 배당성향을 27%로 제시하고 연내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하기로 했다. 또 중장기적으로 총주주환원율 목표를 50%로 설정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우리금융지주는 배당성향을 26%로 결정하고 보통주자본비율(CET1 비율) 12% 달성 때까지 자사주 매입·소각 등으로 총주주환원율을 30%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했다.

자본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됐다. KB금융은 보통주자본비율을 13% 수준에서 관리하고 초과 자본은 주주에게 적극 환원한다고 발표했다. 신한금융은 올해 연초 경영포럼에서 보통주자본비율 12% 초과분은 주주환원에 활용하겠다고 했는데, 이번 IR에서 이를 원칙으로 하고 자산 성장은 명목 경제성장률 수준으로 관리하겠다고 명확히 밝혔다.

하나금융은 보통주자본비율 관리목표를 13~13.5%로 설정했다. 보통주자본비율이 13~13.5% 구간에 있다면 직전년도 대비 늘어난 보통주자본비율의 50%에 해당하는 자본을 주주환원하고, 13.5%를 초과하면 ‘초과 자본을 주주에게 환원한다’는 구체적인 원칙을 수립했다. 우리금융은 2024년까지 보통주자본비율이 12%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12%를 초과할 경우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했다.

금융지주사들의 이같은 움직임에 얼라인은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얼라인은 서한에 대한 금융지주사들의 답변 시한을 9일로 제시하고 주주들이 납득가능한 자본배치정책과 중기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지 않으면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환원 관련 안건을 주주제안하겠다고 했으나, 금융지주사들의 IR 이후 주주제안을 하지 않겠다고 했다. 얼라인은 "금융지주사 경영진의 심도 깊은 논의와 이사회 공식 보고 후 결산실적발표자료에 구체적으로 정책을 게재하고 상세히 설명했다"며 "법률적으로 충분히 구속력이 있으며, 발표 내용을 성실히 지켜야 할 의무를 실질적으로 부담하게 되는 것이므로 얼라인의 요구 수준에 부합한다"고 했다.

얼라인의 요구와 사회적 분위기가 맞아떨어지면서 금융지주사들의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얼라인은 주주제안을 통해 에스엠(SM)엔터테인먼트의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하는 등 주주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단 금융지주사들의 주주환원 확대 움직임 속에서 금융당국의 압력은 변수가 될 수 있다. 금융당국은 경기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사들이 추가적인 자본 확충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는 특별대손준비금 적립 요구권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