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
19일 한국부동산원의 ‘주택거래 현황’ 통계를 보면 올해 1∼10월 전국 주택 거래량 80만6972건 중 증여는 7만3005건으로 전체의 9.0%를 차지했다. 관련 통계가 시작된 지난 2006년 이후 1∼10월 누적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증여 거래 비중은 전체 주택 거래량 162만여건의 8.5%(13만7248건), 2020년에는 전체 거래량(202만여건)의 7.5%(15만2427건)로 올해보다 적었다.
시도별로 보면 주택 증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이다. 서울의 올 1~10월 주택 증여는 총 1만613건으로 전체 거래의 12.5%를 차지했다. 특히 노원구에서 증여 비중이 27.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종로구(21.4%), 용산구(19.6%), 서대문구(17.9), 중구(16.1%) 순으로 증여 거래 비중이 높았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의 증여 비중이 8.6%, 인천은 8.1%였다.
지방에서는 대구의 증여 비중이 11.9%로 서울 다음으로 높았고 제주(11.8%), 전남(11.7%), 대전(9.9%)이 뒤를 이었다.
올해 주택 거래절벽에도 불구하고 증여 비중이 늘어난 데는 내년부터 증여로 인한 취득세 부담이 늘어나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내년부터 증여를 받는 사람이 내야 하는 증여 취득세 기준이 시세의 60∼70% 수준인 시가표준액에서 시가인정액(시세)으로 바뀌면서 세금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절세 요건도 까다로워진다. 현재는 특수관계인에게 주택을 증여받고 이월 과세 적용 기간(5년)이 지난 뒤 매도하면 증여자 취득 금액이 아닌 증여받은 가액으로 양도차익을 계산했다. 이를 통해 양도세를 다소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이월 과세 적용 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늘어난다. 증여받은 부동산을 10년 이상 보유해야 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셈이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