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기령

giryeong@ekn.kr

김기령기자 기사모음




집값 양극화 심화…강북 아파트 3채면 강남 아파트 1채 산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30 16:09

강남구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 9000만원…강북구의 3배



평균 전셋값도 강남이 가장 비싸…강남구 3.3㎡당 4087만원

2022113001001442600061331

▲올해 11월 3.3㎡당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경제만랩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금리 인상 여파로 거래절벽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간 아파트 가격 양극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1월 서울 강남구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9000만원으로 강북구의 약 3배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주택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이달 서울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5068만8000원으로 확인됐다.

구별로 살펴보면 강남구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9023만8000원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았다.

서초구(8759만원), 용산구(6766만원), 송파구(6700만원), 성동구(5855만원), 마포구(5467만원), 광진구(5336만원), 양천구(5209만원), 강동구(5074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강북구는 3198만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가격이 낮았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43㎡는 이달 23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같은 기간 강북구 미아동의 SK북한산시티 전용 84.76㎡는 6억9750만원에 계약이 이뤄졌다. 강남구 아파트와 약 3배 차이다.

한강 이남(11개 자치구)과 한강 이북(14개 자치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각각 15억3099만원과 10억642만원으로 5억2457만원 차이났다.

3.3㎡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도 강남구가 4087만원으로 서울 내 25개 자치구 가운데 유일하게 4000만원을 넘었다. 서초구(3977만원), 송파구(3234만원), 용산구(3075만원), 성동구(3072만원) 등으로 조사됐다. 평균 전셋값이 가장 낮은 곳은 도봉구(1682만원)였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최근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가격 조정과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강남구의 경우 생활 인프라가 워낙 뛰어난데다 수요가 풍부해 지역 간 아파트 가격 양극화 현상은 좁혀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giryeong@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