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시아 군사공격으로 파손된 우크라이나 건물과 나무에 눈이 쌓였다.EPA/연합뉴스 |
연합뉴스가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곡물 협정은 18일부터 기존 협정 원안 그대로 120일간 연장된다.
이는 우크라이나, 러시아, 유엔, 튀르키예가 합의로 내놓은 방안이다.
앞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지난 7월 22일 유엔과 튀르키예 중재 하에 흑해를 통해 양국 곡물과 식량, 비료를 안전하게 수출할 수 있도록 흑해 곡물 협정을 맺은 바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합의 뒤 트위터에서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함께 식량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는 "(7월 협정 개시 이후) 선박 450척이 우크라이나산 곡물과 식료품 1100만t을 싣고 전세계로 향했다"며 "수천만명, 특히 아프리카인들이 굶주림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우리 식량이 없을 때와 비교하면 식료품 가격도 매우 저렴해졌다"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유엔, 우크라이나 공식 발표에도 ‘아직 합의가 확정되지 않았다’며 시간을 끌다 뒤늦게 협정 연장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합의와 관련해 유엔과 우크라이나는 당초 1년 연장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러시아 측이 120일 연장안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러시아는 이번 연장 합의 과정에서 자국 요구 사항이 모두 반영되지 않았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러시아가 흑해 파이프라인을 통해 자국산 암모니아를 수출하는 방안을 요구해왔으나 이번 합의에서 제외됐다고 보도했다. 암모니아는 화학비료 핵심 성분이다.
이와 별개로 러시아는 이날 우크라이나 각 도시 주요 에너지 시설에 동시다발적인 미사일 폭격을 가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공습 이후 "우크라이나 국민 1000만 명이 단전을 겪고 있다"며 "공급을 정상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11일 우크라이나가 남부 헤르손시를 비롯한 헤르손주 드니프로강 서안을 탈환한 뒤부터 에너지 파괴를 목표로 한 대규모 공습을 이어가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공격으로 수도 키이우와 남부 항구도시 오데사, 중서부 비니츠시아, 북부 수미 등 도시가 가장 큰 피해를 봤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는) 테러리스트 국가"라며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게 더 큰 고통을 가져오길 원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러시아는 지난 15일에도 키이우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설에 사상 최대 규모 미사일 공습을 가한 바 있다. 이에 700만여 가구가 정전을 겪었다.
당시 우크라이나는 몇 시간 만에 대부분 전기 공급을 복구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상황이 나빠질 수 있다.
우크라이나 국영 전력기업 우크레네르고는 "갑작스러운 한파로 최근 전기가 복구된 지역에서 전력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에너지 고문 올렉산드르 하르첸코는 우크라이나 국민 50%가 단전 피해를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탈환한 헤르손의 경우 주민들이 식량과 이불, 동복 등 보급품을 받기 위한 쟁탈전을 벌이며 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특히 이런 에너지를 타깃으로 한 공격은 원자력 발전소 관련 위험도 키우고 있다.
AFP통신과 러시아 관영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는 이날 러시아 측에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근거 없는 소유권 주장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IAEA 이사회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핵 시설에 대한 적대 행위를 중단하라는 요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온 점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결의안을 가결했다.
결의는 러시아 측에 자포리자 원전에서 군 및 다른 부문 요원을 즉각 철수하고 우크라이나 내 핵 시설에 대한 모든 적대 행위를 중단할 것도 요구했다.
IAEA 이사국은 캐나다와 핀란드가 제출한 이 결의안은 한국을 포함한 35개국으로 구성됐다. 이중 24개국이 승인했고 러시아와 중국은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국가들은 기권하거나 투표에 불참했다.
자포리자 원전은 유럽 내 최대 규모 원자력 발전소로 러시아가 지난 3월부터 점령중이다.
이 원전 주변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대치하면서 끊임없는 포격이 이뤄졌고, 양측은 서로 포격 책임 비난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핵 재난 사태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