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하늘

yhn7704@ekn.kr

윤하늘기자 기사모음




돈줄 막힌 카드사, ‘혜택’ 축소 본격화…할부 금리는 ‘인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10 15:49
2022102401000819300036371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국내 카드사들이 무이자할부와 프로모션 등 각종 혜택을 줄이고 있다. 여신전문금융채(여전채) 금리가 급등하고, 채권시장 경색으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영향을 받아서다.

10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는 이달 온라인쇼핑과 손해보험 등에 제공하던 6개월 무이자 할부를 3개월로 축소했다.

삼성카드도 이달 들어 아웃렛과 백화점, 온라인쇼핑몰 등에 6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일제히 3개월로 줄였다. 현대카드는 관계사인 현대자동차 구매 시 12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했지만, 이달부터 이를 3개월로 대폭 줄였다.

카드사들이 그간 집중해왔던 자동차 할부 상품의 금리는 9%까지 치솟았다. 지난 달만해도 연 2%~4%대 오토할부 상품이 있었지만, 갑작스레 종적을 감췄다. 해당 상품은 신차를 살 때 최대 1억원까지 카드사가 대출해주는 상품이다.

현대자동차 그랜저를 현금 구매 비율 10%, 대출 기간 36개월 기준으로 구매할 경우, 삼성카드를 이용하면 연 6.6% 금리를 내야 한다. KB국민카드는 6.3~6.4%, 하나카드는 5.3~6.5%로 나타났다.

최고 금리가 8%대를 훌쩍 넘은 곳도 있다. 신한카드의 경우 최저는 6.7%, 최고 8.6%로 나타났다. 우리카드도 6.9~9.1%로 최고 금리가 9%대였다.

롯데카드의 경우 8.7%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지난 7월 롯데카드의 오토할부 최저 금리는 2.9%(36개월 할부 기준)로 3%를 넘지 않았다.

고신용자(1~3등급)를 대상으로 신용카드 할부로 신차 구매 대금을 나눠낼 수 있는 상품도 같은 상황이다. 카드 할부는 지난 8월만 해도 연 2%대에 불과했다. 하지만 현재는 6% 이상의 금리를 내야한다.

롯데카드는 지난 10월 연 5.5%였던 금리를 이달 들어 연 7.9%로 인상했다. 삼성카드도 10월 연 5.1~5.2%였던 금리를 이달부터 연 6.1~7%로 올렸다.

캐피탈사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캐피탈사는 자동차금융을 중심으로 할부 금리를 높이는 등 ‘디마케팅(의도적으로 고객 구매를 줄이는 것)’에 나서고 있다. 일부 소형 캐피털사는 신규 영업을 사실상 중단했다.

캐피탈업계 1위인 현대캐피탈은 캐스퍼와 쏘나타, 넥소 등에 적용하던 저금리 프로모션을 지난달 말 종료했다. 48개월 기준 할부 금리도 이달 들어 연 6%로 올랐다. 올 초 연 2.7%에서 두 배 이상 뛴 셈이다.

쏘나타(신차)를 구매할 경우 하나캐피탈을 이용하면 10.4%(7일 기준)를 내야한다. 이어 BNK캐피탈 9.4%(9월 30일 기준), 현대캐피탈 9%(지난달 1일 기준), KB캐피탈 7.9%(지난달 1일 기준), 롯데캐피탈 7.8%(9월 30일 기준), 우리금융캐피탈 7.6%(9월 30일 기준) 순이다.

내년 초까지는 카드사나 캐피탈사의 혜택 축소와 금리 인상은 불가피 해 보인다. 카드사나 캐피탈사는 은행과 달리 수신 기능이 없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로 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마련한다. 올 들어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여전채 금리도 급등한데다, 레고랜드발 채권시장 경색까지 겹치면서 발행조차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

카드사와 캐피털사 등이 발행하는 기타금융채 순발행액은 지난해 14조8213억원에서 이달 현재 기준 7조9170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여전채 금리(AA-, 3년물 기준)는 올해 초 연 2.634%에서 지난 4일 6.285%까지 뛰었다. 여전채 금리가 6%대에 진입한 건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0년 이래 처음이다.

특히 한국은행이 또 기준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자금조달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스텝’을 4차례 연속 단행하면서 한국은행 역시 오는 24일 6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자동차할부금융 평균금리가 9~10%대까지 오를 가능성이 높다.

여신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기준 금리 인상에 채권 시장까지 얼어붙으면서 높은 금리를 주고도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워졌다"며 "채권안정시장 펀드가 가동한다고 해도 지속적인 금리인상이 이뤄진다면, 당분간 혜택을 줄이고, 할부 금리를 인상하는 게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yhn770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