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승주

lsj@ekn.kr

이승주기자 기사모음




전경련 "글로벌 경제안보 시대, 금융·환경 안정·공급망 확보 지원 필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03 11:00

전경련, 주요 기업 경제안보 인식 및 영향조사 결과
기업 2곳 중 1곳, 글로벌 경제안보 강화에 실적 악화

전경련

▲글로벌 경제안보 움직임에 따른 경영 실적 영향. 자료=전경련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첨단산업과 기술 보호, 수출입·투자 규제, 핵심 자원·소재 공급망 관리 등 전 세계적인 경제안보 움직임 강화가 국내 기업의 실적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주요 기업 경제안보 인식 및 영향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업의 50%는 최근 글로벌 경제안보 강화 움직임에 매출액, 영업이익 등 회사의 경영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4%,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기업은 6%에 그쳤다.

응답 기업의 절반(49.4%)은 우리나라의 경제안보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주요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경제안보 움직임에 대한 우리나라 대처는 52.7%가 부족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은 경제안보 움직임이 강화에 ‘외환·자본 시장 등 금융환경 불안정성 확대(40.7%)’를 가장 우려하고 있다. 이어 ‘수출규제 등 공급망 악화(21%)’, ‘보호무역주의 확산(11.9%)’가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국가별 경제안보 강화 정책에 금융시장 불안이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금융환경 악화는 기업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분석했다.

경제안보 시대를 대응하기 위해 협력해야 될 국가는 미국 86.6%, 중국 10.7%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한·미 협력을 가장 우선시하면서도 중국과 협력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인식한 것이다. 반면 가장 신중히 경계해야 될 국가는 중국(71.1%)으로 조사됐다. 중구근 우리나라의 최대교역국이자 동시에 주력 산업 구조가 유사한 잠재적 경쟁국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재 경제안보 시대는 4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 중 34%는 4년 이상 이 같은 국제 상황이 지속되거나 당분간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1년 이내 단기간 종료될 것이라는 전망은 1.3%에 불과해 미·중 갈등으로 촉발된 신냉전구도가 장기화될 것으로 봤다.

전경련

▲경제안보 달성을 위한 정책 수요. 자료=전경련

기업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환율, 유가 등 금융시장 및 원자재 가격 안정화(32.0%)’가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다. 불안감이 높아지는 구제 정세 속 거시경제 지표의 안정이 최우선이라고 본 것이다. 다음으로는 ‘소재, 부품, 장비 등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18%), ’교역 국가와 우호·협력적 관계 강화(14.8%)‘,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12.9%)‘가 뒤를 이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각국의 산업 보호 정책으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은 단기적으로 적응 비용을 치를 가능성이 높다"며 "경제안보 시대에도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환·자본시장 등 금융 환경 안정과 지속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lsj@ekn.kr

배너